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복은임(Eunim Bok) 조영상(Youngsang Ch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85~10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한 4년제 대학에서 개설된 필수 교양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창의성(creativi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의사소통(communication), 협업(collaboration) 등 4C 역량을 어떻게 실천했는지, 그리고 어떤 수업 활동이 이를촉진했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탐구하였다. 2025년 봄 학기 동안 총 6개 분반, 73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5점 리커트 척도 문항, 객관식 문항, 그리고 개방형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양적 자료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질적 자료는 두 연구자가 협력하여 주제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4C 활동에 중간에서 높은 수준으로 참여했다고 보고했다. 특히 협업과 의사소통이 가장활발하게 실천되었고, 그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이 뒤를 이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수업이 이러한 순서대로4C 역량 증진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 활동 가운데 그룹 발표, 그룹 토론, 교사 및 동료 피드백이 4C 역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강화하는 활동으로 확인되었으며, 단락 쓰기와 바꿔쓰기 및 인용은 상대적으로 덜 효과적인 것으로나타났다. 4C 역량 증진에 기여한 수업 활동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창의성은 개방적이고 안전한 학습 환경에서, 비판적사고는 다양한 관점과 반복적인 피드백 및 수정 과정을 거치며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은 실제적 상호작용을통해, 협업은 공동 목표 추구를 통해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영어 교육에서 4C 역량을 효과적으로함양하기 위한 수업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students’ perceptions of how the 4Cs—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were practiced and which class activities promoted these practices in a required General English course at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A total of 73 students from six course sections participated during the spring 2025 semes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five-point Likert-scale items,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open-ended response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qualitative responses underwent thematic analysis conducted collaboratively by two researchers to ensure reliability. Students reported engaging in the 4C practices at moderate to high levels, wit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ranked highest, followed by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y also perceived the course as supportive of the 4Cs in a similar pattern. Among class activities, group presentations, group discussions, and teacher or peer feedback were identified as most effective in fostering the 4C practices, whereas paragraph writing and paraphrasing with citing were viewed as less supportive. Thematic analysis further revealed characteristics of these class activities that nurtured the 4C practices, including creativity through idea generating in open and safe environments, critical thinking through 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s and iterative feedback and revision, communication via authentic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collective goal pursuit. These results highlight implications for structuring English courses in higher education to more effectively nurture the 4C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복은임(Eunim Bok),조영상(Youngsang Cho). (2025).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교양교육연구, 19 (5), 85-101

MLA

복은임(Eunim Bok),조영상(Youngsang Cho).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교양교육연구, 19.5(2025): 85-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