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glish Education Discourse :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a Rubric for General English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임나현(Nahyun L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103~1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글로벌 및 글로컬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역량(미래, 협동, 창의 역량)을 대학교양 영어 읽기⋅쓰기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촉진할 수 있는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탐색하고자 한다. 기존의 교양 영어 평가는 문법 및 독해 중심의 언어 정확성에 치우쳐서, 학습자의종합적 역량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CBE: Competency-Based Education) 이론을 토대로, 다차원적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 과정에서는 문헌분석, 외부전문가 자문 및 크론바흐 알파 계수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설계된 루브릭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글쓰기 능력은 물론,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사고 능력 등 핵심역량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이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루브릭을 단순한 평가 도구로 한정하지 않고, 교사-학습자 간 상호작용을촉진하고, 학습 동기와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는 수업 설계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루브릭의 장기적 교육 효과와 다양한 학생 집단 및 전공별 글쓰기 맥락에서의확장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a rubric that can effectively diagnose and foster key competencies—future-oriented thinking, collaboration, and creativity—within university-leve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courses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and glocal era. Traditional assessments in general English education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grammar and reading accuracy, thereby showing limitations in measuring learners’ comprehensive competencies.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rubric based on the theo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The development process involved literature analysis, consultation with external expert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As a result, the designed rubric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 not only for assessing learners’ self-directed writing abilities, but also for diagnosing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promoting teacher-learner interaction as well as for functioning as an assessment tool that enhances learning motivation and improves achievement levels. Future research could further examine its long-term educational effects and the scalability of the rubric across diverse student populations and disciplinary writing contexts.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