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Self-Understanding Writing through the “Writing a Page of Autobiography”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예인(Yae-In Hw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속한 기술⋅사회 변화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자기 이해와 성찰을 어떻게촉진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이를 위해 문학과 음악을 매개로 한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모델을제안하고, 공감과 거리두기의 원리를 핵심 작동 원리로 설정하였다. 수업은 ‘현재 자아 인식 → 타인의이야기와 마주하기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의 흐름을 따른다. 실제 수업 결과, 학습자들의 자기이해의 양상은 ① ‘자기 틀’로부터의 거리두기, ② 다중 자아의 인식과 수용, ③ 실패⋅상실의 재해석, ④ 외부 텍스트를 통한 자아 반성의 네 범주로 유형화되었다. 학생들은 문학 및 음악과의 상호작용을통해 과거의 자아를 현재의 자아가 해석적으로 조망하여 자기 이해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는 공감과거리두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문학과 음악이 자기 이해의 매개로 작용함을 밝히고, ‘자서전 한 페이지쓰기’가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효과적으로 이끄는 글쓰기 수업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can foster students’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amid rapid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 To this end, it proposes the “One-Page Autobiography Writing” model, which employs literature and music as mediating texts and adopts empathy and distancing as its core principles. The class progresses through three stages: recognizing the present self, encountering others’ stories, and writing a one-page autobiography. The results revealed four types of self-understanding among students: (1) distancing from fixed self-frames, (2) recognizing and embracing multiple selves, (3) reinterpreting failure and loss, and (4) reflecting on the self through external texts. Through interaction with literature and music, students reinterpreted their past selv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self, thereby deepening their self-understand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pplying the principles of empathy and distancing allows literature and music to serve as effective mediators for self-understanding, confirming that “One-Page Autobiography Writing” functions as an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 for fostering self-reflective writing in high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한 페이지 자서전 쓰기’의 개념과 특질
3.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의 설계와 운영
4. 문학과 음악을 활용한 자기 이해 글쓰기 교육의 실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