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Roles and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Institutes in Supporting the Stabilization of the College of Liber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허혜연(HyeYeon Huh) 한정규(JeongGyu Han) 류찬열(ChanYoul Ryu) 정원섭(WonSup Jung) 조현모(HyeonMo Cho) 윤혜경(HaeGyung Yoo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63~2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율전공학부의 확대라는 새로운 학사제도 환경 속에서 교양교육연구소가 수행해야 할역할과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교양교육연구소 소장을 대상으로 서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양교육연구소는 자율전공학부 학생들의 전공 탐색과 진로 설계, 기초학문 기반 강화, 융합적 학습 지원을 담당할 수 있는 핵심 플랫폼 기관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전담 인력과 예산의 부족, 행정 권한의 제약, 조직 분리 등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이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연구소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전담 인력 확충과거버넌스 참여의 제도화, 성과 환류 체계 구축, 지역 연계 및 소규모 기반 사업의 발굴이 시급한 과제로제기되었다.
특히 교양교육연구소는 이상적 비전 제시에 머무르지 않고, 실행 가능성에 기반한 발전 전략을마련해야 한다. 나아가 AI⋅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융합적 사고와 기초학문 역량 강화를 통해자율전공학부의 안정적 정착과 교양교육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실천적 거점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within the emerging academic landscape marked by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of Liberal Studies, using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institute directo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hold significant potential as key platforms supporting students in the College of Liberal Studies in academic exploration, career design, strengthening foundational disciplines, and fostering integrative learning. However,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dedicated staff, unstable financial resources, restricted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separation have hindered these functions from being fully rea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measures: securing dedicated personnel and institutional authority, institutionalizing feedback systems, developing and operating customized extracurricular and curricular-extracurricular programs, strengthening external collaborations with local communities and industries, and expanding value-oriented education that emphasizes human dignity alongside classical and integrative liberal education. Compared with prior studies that primarily emphasized the ideal visions of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makes a distinctive contribution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structural constraints of the field and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linkages. Ultimate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era of AI-driven digital transformation,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can serve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ensuring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College of Liberal Studies and enhancing integrative academic com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in the changing academic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Division of Undeclared Majors (DUM). To this end, in-depth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of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nationwid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core institutional platformsthat support students in the Division of Undeclared Majors through career exploration, major selection, strengthening of basic academic foundations, and promotion of integrative learning. However,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personnel and budgets, restricted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separation have hindered these functions from being fully rea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must prioritiz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overnance participation, securing full-time personnel, establishing feedback and evaluation systems, and developing regionally connected and small-scale programs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of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Furthermore, these institutes need to go beyond presenting ideal visions and develop pragmatic and actionable strategiesfor institut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AI and digital transformation,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are expected to function as practical hubsthat enhance integrative thinking and foundational academic competenci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and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f Undeclared Majo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