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Hierarchical Digital Mind Map Summary Activities on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진표(Jin Pyo Hong) 정준선(Junseon Jeong) 염제명(Jemyung Yum) 송지훈(Ji Hoon So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207~2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DMM) 기반 요약활동이 학습전략과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H대학교 신입생 19명을 대상으로 16주간 단일집단 사전- 중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했으며, MLST-II 검사를 통해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지수(LQ)의 변화를시계열적으로 추적했다. 연구결과,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U자형 변화 패턴을 보였다. 활동초기(T1-T2)에는 새로운 학습 방식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수업듣기 전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자기주도학습지수(LQ)는 감소하는 경향(p<.10)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활동에 익숙해진 후기(T2-T3)에는 자기주도학습지수(LQ)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으며, 시간관리 및 시험전략에서도 긍정적 변화의 경향성이 나타났다. 학기 전체(T1-T3)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아니었으나, 이는 초기 하락분을 후기 상승분이 상쇄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DMM 기반요약활동의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일정 기간의 적응을 거쳐 상위인지 루틴(계획-점검-조절)이 활성화되면서 점진적으로 발현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신입생 대상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설계 시, 단기적 성과보다 학습자의 내재화 과정을 지원하는 충분한 시간과 단계적 접근이 중요함을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hierarchical Digital Mind Map (DMM)-based summarization activities on the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freshmen. A one-group pre-test-mid-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19 freshmen at H University over 16 weeks, and changes in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Quotient (LQ) were measured longitudinally using the MLST-II test. The results revealed a U-shaped pattern of change in both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initial phase of the activity (T1-T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listening-in-class strategy (p<.05), and the LQ showed a decreasing trend (p<.1), attributable to the adaptation process to the new learning method. However, in the latter phase (T2-T3), as students became accustomed to the activity, the LQ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ith positive trends also appearing in time management and test strategies. The overall change across the entire semester (T1-T3)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s interpreted as the initial decline being offset by the subsequent increa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DMM-based summarization activities do not appear immediately but rather emerge gradually after a period of adapt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metacognitive routines (planning-monitoring-regulating). This study offers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s: when designing learning strategy programs for freshmen, it is crucial to provide sufficient time and a phased approach that supports the learners' internalization process, rather than expecting short-term outcom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수업 설계
4.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