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gitalization of Criminal Procedure, Protection of Vulnerable Groups, and Inclusive Justice: Focusing on the Digital Inclusion Act and the Act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 발행기관
-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 저자명
- 윤지영(Jee Young Yun)
- 간행물 정보
-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제9호, 37~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형사사법절차의 디지털 전환은 불가역적 흐름으로, 2024년 「형사사법절차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과 2025년 전자 형사소송 전면시행으로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자송달·열람·제출 등 일련의 절차는 일정 수준의 디지털 역량과 접근 환경을 전제로 하여, 정보취약계층이 절차적 권리를 충분히 행사하지 못할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25년 제정된 「디지털포용법」을 분석하고, 형사절차 전자화 과정에서 포용적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형사절차전자문서법」에 사회적 약자의 접근권 보장을 위한 선언적 조항을 신설하고, 국가와 형사사법기관의 책무를 명문화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시행령과 대법원규칙에서 간주송달 예외 사유를 확대하고 재송달 및 구제 절차를 마련하는 한편, 등록 동의 절차의 실질화를 통해 정보취약계층이 절차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포용법」의 기본 원칙과 디지털포용영향평가 제도를 형사절차 설계·운영 단계에 적용하여 법제 간 해석의 일관성과 정책적 연계를 확보할 것이 요구된다. 형사사법절차의 디지털 전환은 단순한 효율성 제고를 넘어 국민의 절차적 권리 보장 구조를 재설계하는 과제인 만큼, 모든 국민이 이해할 수 있으며 접근 가능한 포용적 사법체계의 구현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riminal procedure is an irreversible trend, set to accelerat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in 2024 and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riminal litigation in 2025. However, procedures such as electronic service, access, and submission presuppose a certain level of digital literacy and access to technology, creating a risk that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may be unable to fully exercise their procedural rights. This study analyzes the Digital Inclusion Act enacted in 2025 and proposes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to realize inclusive justice in the process of digitalizing criminal procedure. It first emphasizes the need to introduce a declaratory provision in the Act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guaranteeing access rights for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and specifying the obligations of the state and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addition, it calls for expanding the grounds for exceptions to deemed service, establishing procedures for re-service and remedies, and making the consent process for electronic service more substantive to prevent the exclusion of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Furthermore, it argues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digital inclusion impact assessment system of the Digital Inclusion Act sh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riminal procedure, thereby ensuring consistency in legal interpretation and strengthening policy linkage. Ultimately,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riminal procedure should not be limited to improving efficiency but should serve as a means to redesign the structure of procedural rights protection, ensur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clusive justice system that is both understandable and accessible to all.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포용법의 입법 배경과 체계적 구조
Ⅲ. 형사절차전자문서법 및 하위 규정의 체계와 내용
Ⅳ. 포용적 형사절차 구현을 위한 과제와 제도 개선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