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in STEM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인숙(Insook L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39~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생들이 과학기술 쟁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바탕으로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과학기술과 사회)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이공계 학생들이 작성한 STS 논증문 67편을 수집하여 주요과학기술 쟁점과 그에 대한 입장, 그리고 입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중점적으로 다룬 과학기술 쟁점은 ‘대중참여의 제한과 확대’, ‘기술개발의 자율성과 규제’, ‘개인정보의공개와 보호’의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각각에 대해 뚜렷한 입장과 다양한 논거가 제시되었다. 특히대중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기술 발전 속도에 대한 절대적 신념, 기술결정론적 및 기술관료적관점, 개인정보의 공공적 활용에 대한 양자택일적 사고가 관찰되었다. 이는 이공계 학생들이 과학기술자로서의 책임감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일정 부분 갖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기술관료주의적 태도와도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적 특성이 과학기술자정체성과 수용자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나타나는 내적 갈등을 반영한다고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STS 교육은 기술 발전의 당위성을 성찰하고 민주적 기술 거버넌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유도하는한편, 양자택일적 사고에서 벗어나 창의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STEM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 key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dentifies implications for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education. A total of 67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STEM students in a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tudents’ positions on and reasoning about major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most frequently addressed three key issues: restriction versus expansion of public participation, autonomy versus regulation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disclosure versus protection of personal data. The findings showed that many students held technocratic and deterministic views, emphasizing the need for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 expressing somewhat negative perceptions of public participation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xhibiting binary thinking about the public use of personal data. The finding implies that students, while demonstrating a certain level of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social values as scientists and engineers, still tend to adhere to technocratic orientations and instrumental ways of thinking. These cognitive tendencies appear to reflect internal tensions between students' identities as future technologists and as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affected by emerging technolog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STS education for STEM students should incorporate more opportunities for critical discussion on the normative dimensions of technology and encourage creative thinking beyond dichotomous frameworks. Such an approach may foster a more reflective and socially engage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future expert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5호 목차
- Unpacking Class Activities that Foster the Practice of the 4Cs in a General English Course : Students’ Perspectives
-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국내외 주요 대학의 이공계생 대상 글쓰기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 ‘자서전 한 페이지 쓰기’ 수업을 통한 자기 이해 글쓰기 사례 연구
- 이공계 대학생의 논증문에서 나타난 과학기술 쟁점에 대한 인식
- 온라인 교양 수업 ‘인문예술과 감성지능’ 개발 및 운영 사례
- 영어 교육 담론 - 교양 영어 글쓰기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가능성
- 한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 제목 인식 비교
- 생성형 AI 활용 SW 교양 교육 연구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기초’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안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 교양교육 경험에 대한 안드라고지(Andragogy)적 이해와 논의
-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성 교육 - 지능적 실패(Intelligent Failure)에 기반한 창의적 실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정신건강 리터러시 함양 - 청년과 정신건강 교과목 사례 연구
- 위계적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 세미나 교과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 자율전공학부 안착을 위한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방향성 탐색
- 교양교육 만족도와 핵심역량 향상 간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다문화 교양수업 실행 연구 -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전공자율선택제 교육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국립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