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rough the ‘Writing’ an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s within Liberal Arts Education : A Case Study of N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허영주(Youngju Hur)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5호, 5~2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교양 교과목 중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을 수강한 학생들의 소통역량의 향상 정도를비교함으로써,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교과목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25년 1학기에 ‘글쓰기’ 교과목과 ‘발표와 토론’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통역량 사전및 사후검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소통역량은향상되었다. 하위역량을 살펴보았을 때, ‘표현과 전달’ 능력은 향상되었지만, ‘경청과 이해’, ‘조정과해결’ 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표와 토론’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소통역량은 향상되었다. 하위역량을 살펴보았을 때, 모든 하위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조정과해결’ 능력이 가장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표와 토론’ 교과목의 소통역량 향상 정도와3개 하위역량의 향상 정도는 ‘글쓰기’ 교과목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소통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교과목의 내용을읽기, 생각하기, 쓰기, 말하기의 순환적⋅발전적 단계로 구성하고, ‘글쓰기’ 교과목의 주제로 자신의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주제뿐 아니라 상대방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해야 하는 주제도 다룰 필요가있다. 또한, 주차별로 학습자의 프로젝트 활동과 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제공해야하고, 팀 구성원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liberal arts courses ‘Writing’ an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by compar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students who have taken these courses. To achieve this purpose, a pre-test and post-test on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enrolled in the ‘Writing’ an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who took the ‘Writing’ course improved. Among the sub-competencies, ‘expression and delive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while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nd resolu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who took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also improved. All sub-competenc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adjustment and resolution’ demonstrating the greatest increase. Third, the overall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e, as well as in all three sub-competenc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than in the ‘Writing’ cours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content of courses should be organized in a cyclical and developmental sequence of reading, thinking, writing, and speaking. In addition, the ‘Writing’ course should include topics that not only encourage students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but also require them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other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provide weekly activity sheets that support students' project and team-based activities, and to regularly rotate team members to promote diverse collaboration.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영주(Youngju Hur). (2025).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 (5), 5-21

MLA

허영주(Youngju Hur). "교양 교과목 ‘글쓰기’와 ‘발표와 토론’ 수강의 소통역량 향상 비교 탐색 - N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5(2025): 5-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