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mocratic to Ecological Citizenship in the AI Era: Relational Difference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장진아(Jina J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제17집 3호, 7~3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시대의 디지털 환경이 초등학생의 시민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름’의 관계성에 기초한 새로운 시민성 모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 기술의 발전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지만, 동시에 필터버블(filter bubble)과 에코체임버(echo chamber) 현상을 심화시켜 아직 비판적 사고와 미디어 리터러시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아동·청소년에게 특정 시각의 맹목적 수용하거나 타자와의 차이에 대한 오해와 혐오를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전통적 민주시민교육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름’을 수평적이고 비억압적인 관계로 이해하는 시민성의 확장을 제안한다. ‘다름의 관계성’은 차이를 존중하는 것을 넘어 인정(Recognition),책임(Responsibility), 응답성(Responsiveness),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통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함께 생성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 생태전환교육(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교실 속에서 ‘다름의 관계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민주시민성에서 생태시민성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 시민교육이 단순한 정보 판별 능력을 넘어, ‘다름’을 존중하고 상호의존성을 실천하는 관계적 역량 함양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하며,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시민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digital environment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the civic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a new model of citizenship grounded in the relationality of difference. While advances in AI technology broaden learners’ access to diverse information, they also intensify filter bubble and echo chamber effects, which may lead children and adolescents?whose critical thinking and media literacy are not yet fully developed?to uncritically adopt particular viewpoints or reinforce misunderstandings and hostility toward others. In response,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proposes an expanded conception of citizenship that understands “difference” as a horizontal and non-oppressive relationship. The relationality of difference goes beyond merely respecting diversity, highlighting a co-creative process with others through four interrelated elements: recognition, responsibility, responsiveness, and interdependence. Building on this framework, the study analyzes a cas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o examine how students experience the relationality of difference in classroom practices and, through these experiences, extend their democratic citizenship toward ecological citize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civic education in the AI era must move beyond information literacy to cultivate relational capacities that respect difference and enact interdependence, thereby offering concret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sustainable and inclusive citizenshi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 사회 교과서의 세계시민교육 요소 분석: 2022 개정 3학년 ‘사회 변화와 다양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 부탄 ICT 교육협력의 성과와 지속가능성 분석: 시범교실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 천자문(千字文)에 나타난 윤리적 가치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적용 가능성 탐색: 책임 있는 시민성 함양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철학적 접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중심으로
- 중국 무술학교 코치의 리더십 행동이 선수들의 자기 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 중심성이 학업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일본 사회 보수화의 구조: 사회적 다양성과 정당의 적응, 아래로부터 보수화
- 수도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전주기 경험과 종합 관리 체계 탐색
- Emotions, Resilience, and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Teaching Practicu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 Tea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