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Oh Hoeng-muk's Regional Politics and the Memorial Stele for Him: Focusing on Gyeongsang Regi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배상현(Sang-Hyun Ba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90집, 579~61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채원 오횡묵(1834~1906)은 19세기 말 경상도 자인, 함안, 고성에서 목민관으로 활동하였다. 그가 재임지에서 작성한 일록인 “총쇄록”에는 현장을 철저히 파악하면서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한 그의 노력과 여정이 잘 드러나있다. 그가 활동하던 1888~1894년의 경상도 지역은 자연 재해 등으로 주민들의 삶이 극도로 피폐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은 그들의 구제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오횡묵은 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관-민 협치를 통해 자체적인 재원 확보와 지역의 물적 인적 구조의 개혁을 통해 난관을 타개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오횡묵이 부임한 자인현은 경상도에서도 흉년이 가장 극심한 고을이었으며함안과 고성은 ‘難治邑’으로 지목되어 있었다. 그는 자인현에서 적극적인 勸分 을 실시하였으며, 함안에서는 향전을 잠재우고 지식인층과 적극 교류하며 계층이익을 담보하면서 현안을 해결해 나갔다. 고성에서는 행정 수요에 고전하면서 기민 구제에 진력하였으나 농민항쟁의 여파로 물러나게 되었다. 오횡묵은 이임을 전후해 선정비의 주인공이 되고 있었다. 자인에서는 日彦 里 주민들에 의해 세워졌다. 여기에는 기민의 구휼과 적폐들을 일소하여 흩어졌던 주민들이 돌아와 마을이 다시 번창하고 있다고 하였다. 함안 주민들에의해 세워진 비에는 노인 봉양과 빈민 구휼 활동이 잘 드러나 있다. 고성에세워진 비는 앞서 보인 그의 영남별향사 활동을 기념하는 것이었다. 이들 현전하는 비들 모두 주인공이 보인 지역정치의 표식으로서, 주민들의 바람과 욕구를 반영하는 기념물로 이해된다. 본고에서 살핀 오횡묵의 지역정치와 선정비에 대한 이해는 당사자가 남긴일기류와 소수의 현장 금석문을 중심 자료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현장 자료의 발굴과 비교 분석을 통한 검토가 앞으로 요망된다.

영문 초록

Chaewon Oh Hoeng-muk (1834-1906) served as a local magistrate in Jain, Haman, and Goseong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is daily record, Chongsoerok (Record of Comprehensive Affairs), written during his tenure, vividly illustrates both his close observation of local conditions and his persistent efforts to improve the lives of the residents. Between 1888 and 1894, the Gyeongsang region was repeatedly struck by natural disasters, leaving the population in an acutely impoverished state.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lacked sufficient fiscal resources to provide adequate relief. In this context, Oh Hoeng-muk did not disregard the suffering of the people but instead sought to confront the crisis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officials and commoners, the mobilization of local resources, and reforms in both the material and human structures of regional society. Jain, to which Oh was first appointed, was among the counties most severely affected by famine in Gyeongsang Province, while Haman and Goseong were both designated as nanchieup (“difficult-to-govern counties”). In Jain, he implemented kwŏnbun, a system of voluntary grain sharing, with great vigor. In Haman, he worked to suppress violent factional strife among the gentry, while actively engaging with the local intellectual class and mediating between competing social interests to resolve pressing issues. In Goseong, where overlapping tax burdens and heavy administrative demands created chronic instability, he devoted himself to famine relief but was ultimately forced to step down in the wake of civil disturbances. Around the time of his departure from office, Oh Hoeng-muk was honored by local residents through the erection of commemorative stelae. In Jain, the villagers of Il-eon-ri established the “Stele of Gratitude for Famine Relief and the Removal of Abuses”, which records that through his relief measures and elimination of entrenched abuses, scattered residents returned and local communities once again flourished. In Haman, the stele emphasizes his integrity and moral conduct, highlighting his care for the elderly and his relief activities for the poor. In Goseong, the “Stele Commemorating Oh Hoeng-muk’s Achievements at the Yeongnam Byulhyangsa” memorializes his contributions to the Yeongnam Byulhyangsa. These surviving monuments function not merely as commemorations of individual virtue but as markers of local politics, reflecting the aspirations and desires of the communities that erected them. The present study’s understanding of Oh Hoeng-muk’s regional administration and its commemoration necessarily remains limited, as it is based primarily on his diary and a small number of extant inscriptions.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the discovery of new local sources and comparative analysis, which may allow for a more comprehensive reassessment of his role in late nineteenth-century regional politics.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역정치를 담은 현장 日錄
Ⅲ. 세 고을에서의 진휼 정치
Ⅳ. 선정비에 투영된 지역 정치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상현(Sang-Hyun Bae). (2025).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 579-617

MLA

배상현(Sang-Hyun Bae).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025): 579-6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