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쪽샘41호 피장자의 성격

이용수  18

영문명
The Character of the Occupant of Tomb No. 41 at Jjoksaem, Gyeongju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성훈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6집, 667~6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 쪽샘41호는 무덤의 규모로 보아 중형급에 해당하는 적석목곽묘이다. 본고에서는 쪽샘41호분 출토 주요 유물을 분석하여 대형급 무덤 출토품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41호 피장자의 성격에 대해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쪽샘41호는 월성북고분군 일원의 다른 적석목곽묘와 부장 정형을 공유하고 있음과 동시에 차별되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특히 무기·무구·마구류가 특징적이다. 41호 무기·무구·마구류의 부장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유물이 복수로 부장된다는 것은 피장자의 강한 무장적 성격을 나타낸다. 특히 장식적 성격의 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종류의 실용적 철제 무기·무구·마구류가 추가로 부장된 사례는 특이하다. 이는 41호 피장자가 살아생전 실제로 전장에 나가 전투에 참여했던 인물이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둘째, 부장된 무기·무구류 중 편년상 경주지역에서 초출(初出)하는 자료가 존재하는데, 이는 41호 피장자가 당대의 선진적인 무기와 무구를 선점하고 있었던 인물임을 나타낸다. 셋째, 장식대도의 착장 양상에서 기존 신라의 부장 정형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신라의 장식대도가 계서(階序)에 의거하여 재질과 종류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착장 가능 여부가 제한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립간기 신라 사회는 적석목곽묘라는 고총고분을 축조하고 그 안에 다종다양한 유물을 부장하는 등 이전과 다르게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황남대총 남분 단계부터 금공품을 활용한 무장의 의장화(儀裝化)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이전 시기와 그리고 동 시기의 가야와 차별되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무장의 의장화 현상은 마립간기 지배체제의 정비, 군사제도의 개편 등과 연계시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장적 성격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쪽샘41호의 피장자는 신라 왕족 혹은 최상위 귀족 신분으로 당시 지배체제하에서 군사적 역할을 부여받았던 성격의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omb No. 41 in the Jjoksaem area of Gyeongju is a medium-sized wooden chamber tomb with a stone mound (jeoksokmokgwak-myo), as determined by its overall scal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artifacts excavated from Tomb No. 41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from large-scale burials, with the aim of inferring the social status and identity of the tomb occupant. Tomb No. 41 shares a typical burial assemblage with other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in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At the same time, it displays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particularly in the assemblage of weapons, armor, and horse gear. These characteristic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nce of multiple sets of weapons and armor suggests that the occupant possessed a strong military identity. Notably, alongside ornate items, several sets of practical iron weapons, armor, and horse gear were also interred, implying that the individual may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battle during their lifetime. Second, some of the weapons and armor represent the earliest known examples of their kind in the Gyeongju area in terms of relative chronology. This indicates that the tomb occupant had access to the most advanced military equipment of the period. Third, the manner in which the ornate sword was worn diverges from the standard pattern observed in other Silla tombs. This suggests that both the materials and styles of such swords, as well as the privilege of wearing them, were regulated by social hierarchy. During the Maripgan period, Silla society underwent major transformations, marked by the construction of large mounded tombs (jeoksokmokgwak-myo)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grave goods. Of particular significance is the symbolic display of arms, first observed in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which distinguishes Silla both from earlier periods and from contemporaneous polities such as Gaya. The ceremonialization of military equipment likely reflects changes in the ruling structure and military system under Maripgan leadership. Within this context, the occupant of Jjoksaem Tomb No. 41, whose grave goods strongly emphasize a military character, can be interpreted as a high-ranking figure, possibly a member of the Silla royal family or an elite aristocrat entrusted with military authority in the polity’s ruling 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적석목곽묘와 신라 사회의 계서(階序)
Ⅲ. 쪽샘41호 출토 유물의 특징
Ⅳ. 쪽샘41호 피장자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훈. (2025).경주 쪽샘41호 피장자의 성격. 한국고고학보, (), 667-692

MLA

이성훈. "경주 쪽샘41호 피장자의 성격." 한국고고학보, (2025): 667-6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