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n Destiny of Traditional Academies : The Modern Development Path and Educational Function Reconstruction of Longnan Academy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웨이통량(Tongliang Wei) 석달호(Dalho Seok)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90집, 351~3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나라 시대 서북지역의 중요한 도립 서원으로서, 농남서원의 역사적 발전과정은 중국 전통 교육기관이 근대화 과정에서 보여준 전형적인 전환 경로를보여준다. 본 논문은 농남서원을 사례로 하여, 문창서원의 창건부터 진주로의이전, 농남서원으로의 재건, 청말 신식 중학교로의 개혁을 거쳐 최종적으로현대 간수성 천수시 제1중학교로 발전하기까지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본 논문은 각 역사적 단계에서 농남서원이 보여준 “시대와 함께 발전하는” 제도적 적응성과 “교육 본질로의 회귀”라는 기능적 고수에 주목하고, 지방 사회에서의 문화 교화, 인재 양성, 학술 전승 역할을 탐구하여 백 년간 지속될 수있었던 심층적 논리를 밝혀낸다. 농남서원의 “경세치용(經世致用)” 교육 이념, 제사 의례, 교과 내용, 제도 전환에 대한 종적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전통 서원이 근대화 과정에서 완전히 대체된 것이 아니라, 변화에 적응하면서 교육적가치의 지속적 확장과 문화적 기능의 재구성을 실현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중국 서북지역 교육사와 서원 제도 연구를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서원 부흥”과 교육 개혁에 역사적 거울과 현실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As an important provincial academy established during the Qing Dynasty in Northwest China, the historical evolution of Longnan Academy demonstrates the typical transformation path of traditional Chines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Taking Longnan Academy as a case study, this paper systematically examines its journey from the establishment of Wenchang Academy, its relocation to Qinzhou, reconstruction as Longnan Academy, to its reform into a modern secondary school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and its eventual evolution into the modern Tianshui No.1 Middle School in Gansu Province. The article focuses on its institutional adaptability of “keeping pace with the times” and its functional persistence of “returning to the essence of education” throughout various historical periods. It explores its roles in cultural enlightenment, talent cultivation, and academic inheritance in local society, revealing the underlying logic that enabled its century-long continuity. Through a longitudinal analysis of Longnan Academy's educational philosophy of “practical learning for practical use,” ritual ceremonies, curriculum content, and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raditional academies were not completely replac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but rather achieved continuous extension of educational values and reconstruction of cultural functions through adaptation to change.
This research not only enriches the study of educational history and academy systems in Northwest China, but also provides historical insights and practical enlightenment for the current “academy revival” and educational reform.
作为⻄北地区清代重要的道⽴书院,陇南书院的历史演进展现了中国传统教育 机构在现代化进程中的典型转型路径。本⽂以陇南书院为个案,系统梳理其自⽂昌 书院创建、迁徙⾄秦州、重建为陇南书院,直⾄清末改制为新式中学并最终演化为 现代甘肃省天水市第一中学的过程。⽂章聚焦其在各历史阶段中“与时俱进”的制度 适应性与“回归教育本质”的功能坚守,探讨其在地⽅社会中的⽂化教化、人才培养 与学术传承作用,揭⽰其得以延续百年的深层逻辑。通过对陇南书院“经世致用”教 育理念、祭祀仪式、课程内容和制度转型的纵向剖析,本⽂指出,传统书院并非 在近代化过程中被完全替代,而是在适应变革中实现了教育价值的持续延伸与⽂化 功能的再造。本⽂的研究不仅丰富了中国⻄北地区教育史与书院制度研究,也为当 前“书院复兴”与教育改革提供了历史镜鉴与现实启⽰。
목차
Ⅰ. 引言
Ⅱ. 陇南书院的历史发展与传统功能
Ⅲ. 陇南书院的现代转型与功能演变
Ⅳ. 陇南书院得以保留⾄今的内在逻辑
Ⅴ. 结语
参考⽂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 ‘계승에서 활용으로’: 중국 서원의 演變과 대학 서원의 운영
- 국가유산 활용 사업을 통한 서원의 현대적 교육 활용 사례 분석
- 서원문화자산의 활용과 과제 - 2025년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사업 90선」을 중심으로
- 서원의 진정성 있는 활용
- 경산 지역 서원 현황과 활용 방안 제언
- 글로컬 인문공간 한국의 서원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제언
- 한국 서원 연구의 활성화 및 활용을 위한 제언
- 동아시아 서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Academies in East Asia”에 대한 서평
- 지역과 연계한 서원 체험학습 교재 개발 - 대구지역 초등학생 현장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传统书院的现代命运-陇南书院的现代发展路径与教育功能再造
- ĐƯA DI SẢN ĐẾN GẦN VỚI CÔNG CHÚNG-SỰ CHUYỂN ĐỔI PHƯƠNG THỨC BẢO TỒN DI SẢN TẠI VĂN MIẾU-QUỐC TỬ GIÁM VIỆT NAM
- 전후 영국 사회의 요구와 신흥 대학교(New University)의 대응 -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조선족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 관행과 관계맺기 - 토지유전정책 이후 A 조선족 농촌마을의 관계 재편성을 중심으로
- 신라의 稅役 관련 용어 용례 검토
- 종교적 실천을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귀환 이주 고려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 고고자료 검토를 통한 고구려 평양 시기의 왕릉 비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