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Seowon in the Gyeongsan Region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광우(Gwang-woo Yi)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90집, 183~21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원은 조선 시대 사학을 대표하는 사학 기관이자 양반 사대부 계층의 향촌 기구로서, 전국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었다. 경상북도 경산에도 현재 16개소가량의 서원이 운영되고 있다. 서원은 전통사찰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 지역 문화유산이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 등은 서원이 가지는 전통문화로서의 가치를 제고하고 효율적으로 전승하고자, 다양한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경산 지역 서원은 일부를 제외하곤 현대적 활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뿐더러, 평소 대중에게 개방하지 않는 서원도 많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서원을 현대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필요가 있다. 먼저 연혁이 짧은 경산 지역 서원 자체의 역사성 보다는 제향인물의 상징성과 주변 역사문화환경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도시’라는경산의 슬로건에 발맞춰 서원 활용을 위한 개별 서원과 교육 기관 간의 소통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경산 지역 서원은 제향 인물의 스토리텔링화, 주변 학교와 연계한 활용 프로그램 구축, 시니어 및 쉼터 공간으로의재구성, 선별적 개발과 투자를 통한 지역 내 모범 사례 확보 등의 방향으로 활용 방안이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eowons (Confucian academies) were emblematic historical institutions of Joseon Dynasty historiography, functioning as local commun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or the scholar-official gentry class. These academies were extensively established across the nation. Presently, approximately 16 Seowons are operational in Gyeongsan, Gyeongsangbuk-do. Alongside traditional temples, Seowons constitute significant regional cultural heritage sites in Korea. Consequentl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have implemented various educational and experiential programs aimed at enhancing and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traditional cultural value of Seowons. Nevertheless, with few exceptions, the contemporary utilization of Seowons in the Gyeongsan area remains minimal, and many Seowons are not accessible to the public.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nd modernize the utilization of Seowons in the Gyeongsan area,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emphasizing the relatively brief history of Seowons in the Gyeongsan area,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nshrined figures and the surrou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Furthermore, in alignment with Gyeongsan's designation as an 'educational city,' fostering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 Seow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eowons.
In light of these considerations, the utilization proposals for Seowons in the Gyeongsan area should be formulated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and utilization strategies centered on local renowned figures,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utilization programs with nearby schools, the adaptation of Seowons as senior and rest areas, and the identification of exemplary cases of Seowon utilization within the region through selective development and invest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산 지역 서원의 건립 추이와 현황
Ⅲ. 경산 지역 서원 활용을 위한 제언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 ‘계승에서 활용으로’: 중국 서원의 演變과 대학 서원의 운영
- 국가유산 활용 사업을 통한 서원의 현대적 교육 활용 사례 분석
- 서원문화자산의 활용과 과제 - 2025년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사업 90선」을 중심으로
- 서원의 진정성 있는 활용
- 경산 지역 서원 현황과 활용 방안 제언
- 글로컬 인문공간 한국의 서원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제언
- 한국 서원 연구의 활성화 및 활용을 위한 제언
- 동아시아 서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Academies in East Asia”에 대한 서평
- 지역과 연계한 서원 체험학습 교재 개발 - 대구지역 초등학생 현장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传统书院的现代命运-陇南书院的现代发展路径与教育功能再造
- ĐƯA DI SẢN ĐẾN GẦN VỚI CÔNG CHÚNG-SỰ CHUYỂN ĐỔI PHƯƠNG THỨC BẢO TỒN DI SẢN TẠI VĂN MIẾU-QUỐC TỬ GIÁM VIỆT NAM
- 전후 영국 사회의 요구와 신흥 대학교(New University)의 대응 -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조선족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 관행과 관계맺기 - 토지유전정책 이후 A 조선족 농촌마을의 관계 재편성을 중심으로
- 신라의 稅役 관련 용어 용례 검토
- 종교적 실천을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귀환 이주 고려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 고고자료 검토를 통한 고구려 평양 시기의 왕릉 비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