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이용수  3

영문명
Foreign Aid During the Cold War from a Realist Perspective: The Marshall Plan and Aid to Korea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양수(Yangsoo Yi)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90집, 545~57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은 수원국과 공여국의 역할을 함께 제시할 수 있는 원조 모범국가라 할수 있다. 미국의 대한 원조는 정치 경제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산업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과 수원국의 입장을 균형있게 분석하고자 해외원조의 기원과 동기를 식민지 발전법과 마셜플랜에서 찾아보았고, 냉전기 원조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트루먼 독트린 그리고GARIOA 점령지구호원조와 경제협조원조(EC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국원조의 동기는 자국의 무역확대와 안보강화 그리고 국제적 위상 제고라는 실리적 원조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대한 원조의 특성을 경제, 군사적 목적에서분석해 보고 국제정치학 이론인 모겐소의 현실주의 관점에서 원조의 동기를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가 공여-수원국 모두에게 이익이 될 때지속가능한 원조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과거와 현재를 불문하고, 해외원조는 공여국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상호 호혜적 원칙에서 공여와 수혜가 이루어질 때 더 효과적인 원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교훈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foreign ai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rshall Plan and U.S. aid to Korea post-liberation. Korea's dual experience as both a recipient and a donor provides a unique perspective on aid. Aid played a crucial role in Korea's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particularly in industrial growth. Unlike prior research focusing on recipients, this study offers a balanced view of both donors and recipients. It concludes that the U.S. leveraged aid to expand trade, enhance security, and boost international status. Sustainable aid is achieved when it benefits both parties, emphasizing mutual benefit and alignment with donor interests for effective aid.

목차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기존 연구분석
Ⅲ. 트루먼 행정부와 마셜플랜
Ⅳ. 대한민국 수원의 역사적 고찰과 특성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양수(Yangsoo Yi). (2025).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민족문화논총, (), 545-577

MLA

이양수(Yangsoo Yi).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민족문화논총, (2025): 545-5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