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Utilization and Challenges of Seowon Cultural Heritage-Focusing on the 2025 Top 90 National Heritage Programs for Hyanggyo and Seowon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백지국(Ji-guk Baek)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90집, 121~1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서원의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주목하여, 오늘날 서원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유산청이 제정한 서원의 보존과 관리에 관한 일반지침을 기준으로 서원문화자산을 ① 교육·강학, ② 제향·의례, ③ 운영·조직(네트워크), ④ 인물·학맥, ⑤ 건축·경관, ⑥ 생활양식, ⑦ 기록문화·기록유산, ⑧ 경제활동, ⑨ 전설·일화 등 9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국가유산청이 주관한 「2025년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중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사업 90선’에 포함된 프로그램 가운데 서원이 단독으로 운영한 24개소의 87건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구체적인 활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서원문화자산 활용은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 영남권과 일부 충청권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지역적 편중성이 나타났다. 활용 유형 중에서는 건축·경관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도 생활양식, 교육·강학, 인물·학맥 등의 항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활용 사례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서원의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제향·의례, 운영·조직, 경제활동 유형은 활용 빈도가 매우 낮거나 전무하여, 서원의 본질적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일부 사례에서는 서원 공간을 단순한 전통체험장으로 활용하는 경향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서원문화자산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특정 지역에 편중된 활용을 완화하기 위해 지역 간 문화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활용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서원에 특화된 전문 인력의 양성과 유형별 활용 전략의 정립이 요구된다. 셋째, 서원문화자산을 지역 내외의 다양한 자산과 연계하여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원이 지닌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서원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현대 사회 속에서 실효적이고 지속 가능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서원문화자산의 보존과 활용 사이의 균형을 모색하고, 전통문화자산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과제에 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Seowon utilization and identifies key challenges by highligh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Seowon-Confucian academies that fulfilled educational, ritual, and self governing func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Seowon cultural heritag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based on the General Guideline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Seowon issued by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① education and lectures, ② rituals and ceremonies, ③ management and organization (networks), ④ figures and academic lineages, ⑤ architecture and landscape, ⑥ lifestyle, ⑦ documentary heritage, ⑧ economic activities, and ⑨ legends and anecdotes. The study analyzed 87 programs from 24 Seowon sites that independently participated in the “2025 Top 90 Hyanggyo and Seowon Heritage Programs,” a national initiative led by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analysis reveals a regional imbalance, with most Seowon utilization concentrated in the Yeongnam region, particularl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parts of the Chungcheong region. Among the heritage types, architecture and landscape showed the highest utilization rates, followed by lifestyle, education, and academic heritage. In contrast, programs involving rituals and ceremonies, management and organization, and economic functions-core elements of Seowon-were rarely implemented or entirely absent, indicating a disconnect from the essential values of Seowon. Furthermore, some programs merely used Seowon as a backdrop for general traditional experiences, lacking deeper cultural relev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Seowon cultural heritage. First, establish a foundation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and promote balanced cultural development. Second, cultivat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develop tailored strategies for each heritage category. Third, expand the scope of utilization by linking Seowon with various local and external cultural assets. Fourth, reinterpre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Seowon in a contemporary context.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strategies aimed at ensuring both the identity and public relevance of Seowon in modern society. It provides a practical foundation for balancing heritage preservation with active cultural engagement and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al assets.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원문화자산 유형 분류
Ⅲ. 서원문화자산 활용 현황
Ⅳ. 서원문화자산 활용 과제
Ⅴ. 맺음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 ‘계승에서 활용으로’: 중국 서원의 演變과 대학 서원의 운영
- 국가유산 활용 사업을 통한 서원의 현대적 교육 활용 사례 분석
- 서원문화자산의 활용과 과제 - 2025년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사업 90선」을 중심으로
- 서원의 진정성 있는 활용
- 경산 지역 서원 현황과 활용 방안 제언
- 글로컬 인문공간 한국의 서원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제언
- 한국 서원 연구의 활성화 및 활용을 위한 제언
- 동아시아 서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Academies in East Asia”에 대한 서평
- 지역과 연계한 서원 체험학습 교재 개발 - 대구지역 초등학생 현장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传统书院的现代命运-陇南书院的现代发展路径与教育功能再造
- ĐƯA DI SẢN ĐẾN GẦN VỚI CÔNG CHÚNG-SỰ CHUYỂN ĐỔI PHƯƠNG THỨC BẢO TỒN DI SẢN TẠI VĂN MIẾU-QUỐC TỬ GIÁM VIỆT NAM
- 전후 영국 사회의 요구와 신흥 대학교(New University)의 대응 -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조선족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 관행과 관계맺기 - 토지유전정책 이후 A 조선족 농촌마을의 관계 재편성을 중심으로
- 신라의 稅役 관련 용어 용례 검토
- 종교적 실천을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귀환 이주 고려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 고고자료 검토를 통한 고구려 평양 시기의 왕릉 비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