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structing of identity through religious practices: Focusing on the case of Koryoin in Korea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서대승(Dae-Seung Seo)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90집, 513~5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귀환 고려인들이 한국에서 종교적 실천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새롭게 해석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신교 교회에 참여하는 신자들의 사례를 통하여 이들이 과거의 디아스포라적 경험과한국 사회에서의 현재 삶을 연결하는 방식, 그리고 새로운 소속감과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이 과정에서 고려인 교회는 단순히 출신국의 문화를 유지하는 공간이 아니라, 예배 형식, 언어 사용, 공동체 운영 방식등에서 고유한 종교문화적 양식을 만드는 장이 된다. 더 나아가 고려인 신자들은 신앙을 통해 자신들의 이주 역사와 정체성에 초월적 의미를 부여하고, 디아스포라적 삶을 종교적 ‘소명’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해나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교적 실천이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이나 정체성 유지라는 차원을 넘어, 과거의 디아스포라 여정을 현재의 신앙적 실천과 접목시켜서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through which repatriated Koryoin reconstruct and newly interpret their identities in South Korea through religious practice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the cases of Protestant church members, examining how they connect their past diasporic experiences with their present lives in Korean society and how they form new senses of belonging and self-identity. In this process, Koryoin churches serve not merely as spaces for preserving the culture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but as sites where unique religious-cultural forms are created through worship styles, language use, and modes of community operation. Furthermore, Koryoin believers, through their faith, assign transcendent meaning to their migration histories and identities, and construct a new identity that interprets diasporic life as a religious “calling.”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such religious practices go beyond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or the maintenance of identity, and instead represent a process in which Koryoin actively reconstruct their identity by linking their past diasporic journeys with present religious practi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Ⅳ. 교회 활동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요소들
Ⅴ. 종교를 통해서 정체성을 재구성하기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 ‘계승에서 활용으로’: 중국 서원의 演變과 대학 서원의 운영
- 국가유산 활용 사업을 통한 서원의 현대적 교육 활용 사례 분석
- 서원문화자산의 활용과 과제 - 2025년 「향교·서원 국가유산 활용사업 90선」을 중심으로
- 서원의 진정성 있는 활용
- 경산 지역 서원 현황과 활용 방안 제언
- 글로컬 인문공간 한국의 서원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제언
- 한국 서원 연구의 활성화 및 활용을 위한 제언
- 동아시아 서원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 “Academies in East Asia”에 대한 서평
- 지역과 연계한 서원 체험학습 교재 개발 - 대구지역 초등학생 현장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 传统书院的现代命运-陇南书院的现代发展路径与教育功能再造
- ĐƯA DI SẢN ĐẾN GẦN VỚI CÔNG CHÚNG-SỰ CHUYỂN ĐỔI PHƯƠNG THỨC BẢO TỒN DI SẢN TẠI VĂN MIẾU-QUỐC TỬ GIÁM VIỆT NAM
- 전후 영국 사회의 요구와 신흥 대학교(New University)의 대응 -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조선족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 관행과 관계맺기 - 토지유전정책 이후 A 조선족 농촌마을의 관계 재편성을 중심으로
- 신라의 稅役 관련 용어 용례 검토
- 종교적 실천을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귀환 이주 고려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실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냉전기 해외원조: 마셜플랜과 대한 원조
- 채원 오횡묵(吳宖黙)의 지역정치와 선정비(善政碑) 연구 - 경상도 고을을 중심으로
- 고고자료 검토를 통한 고구려 평양 시기의 왕릉 비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