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이용수  0

영문명
Utilization Cases and Future Tasks of Memorial Rites at the UNESCO World Heritage ‘Korean Seow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순한(Soon-Han Kim)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90집, 5~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9개 서원을 중심으로, 서원의 제향의례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지속 가능하게 전승·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2024년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은 문화유산을 '보존'의개념을 넘어 ‘향유’와 ‘창의적 계승’으로 확장하며, 무형유산의 주체를 공동체와 전승자로 전환함으로써 제향의례 보존 활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사)세계유산 한국의서원 운영협의회’는 산하에 ‘제례보존회’를 조직하고, 제향의례에 관한 문헌조사, 구술채록, 영상기록, 교육 프로그램, 일반인체험 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제향의례는 서원의 핵심 기능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치·사회사 연구가 향토사 연구로 확장되었음에도 서원의 제례 연구는 상대적으로 충분히 조명되지 못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제향의례를단순한 종교적 제례로 한정하지 않고, 유교 정신과 지역 성리학 계보, 교육 이념을 계승하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한국서원의 제향의례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지역의 선현(先賢)을 제향 대상으로 삼고, 민간신앙적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여 순수한 유교적 이념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독자적 특징을 가진다. 또한 소수서원의 도동곡(道東曲)과 같은 예악(禮樂)의 전통은 현재까지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어, 제향의례는 동아시아에서 유례없는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례보존회’는 2023년부터 문헌조사와 구술채록을 통해 제향의례의 원형을 검토하고, 이를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이어 2024년에는 ‘제례 참관단’ 운영과 ‘제례전승학교’ 개설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체험형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서원의 제향인물과 의례의 의미를 소재로 한 스토리텔링 경연대회를 개최하는 등 대중 참여를 유도하였다. 특히 전통 한자 중심으로 정리된 제향의례자료를 한글과 병기하여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제향의례 전승학교 교재’ 제작은 교육 측면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서원의 제향의례는춘추향사례(春秋享祀禮), 정알례(定謁禮), 삭망례(朔望禮)와 같은 정기 의례뿐만아니라 알묘례(謁廟禮), 이안제(移安祭), 고유례(告由禮) 등 다양한 비정기 의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원은 이러한 의례를 지역 공동체의 참여와 함께 전승되고 있다. 특히 제례 전승 과정에서 확인된 변화-예를 들어 과거 3일간의입재 기간이 현재는 당일로 축소된 점이나 제수(祭需) 항목의 간소화 등-은시대 변화에 적응하면서도 원형을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실천 사례를 통해 서원의 제향의례가 단절되지 않고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이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여 제도적 보호 아래 체계적으로 전승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서원의 제향의례는 한국 고유의 유교 문화 전통이 지역 공동체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무형유산적 가치와 공동체 문화유산으로서의 의의가 크다. 이 연구는 앞으로 서원 제향의례가 국내외에 널리 알려지고, 보존과 활용이 조화를 이루는 문화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ntangible cultural value of the traditional Memorial Rites practiced at nine Confucian academies (Seowon) in Korea, which have been inscrib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sustainable strategie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se rites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Framework Act in 2024, the concept of heritage has expanded beyond preservation to include cultural enjoyment and creative succession. This legislative change has emphasized the role of communities and cultural bearers in safeguarding intangible heritage, thereby offering a new direction for the preservation of Memorial Rites. Although Memorial Rites are one of the core functions of Seowon, they have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academic research, which ha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and scholarship. This study highlights Memorial Rites not simply as religious ceremonies but as cultural traditions that inherit Confucian ideals, local Neo-Confucian lineages, and educational values. Unlike institutions in China and Japan, Korean Seowon uniquely enshrine local sages, strictly excluding folk religious elements and thus preserving the pure spirit of Confucianism. The Dodonggok of Sosu Seowon, a traditional Confucian musical composition, is one such example of Korea’s unique preservation of ritual music, underscoring the exceptional heritage value of Seowon Memorial Rites in East Asia. Since 2023, the Jesa Preservation Association has been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and oral history interviews to document the original structure of Memorial Rites, and has produced educational videos based on these findings. In 2024, public engagement efforts expanded with programs such as the Memorial Rite Observation Program, Memorial Rite Transmission School, and storytelling contests focused on figures commemorated at Seowon. A significant achievement has been the production of a bilingual instructional manual (i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which greatly improves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public. Memorial Rites at Seowon are divided into regular ceremonies-such as the Spring and Autumn Rites, New Year's Rite (Jeongalle), and Monthly Rites (Sanggmangrye)-and irregular ones such as Almyorye, Ianrye, and Goyurye. These rites continue to be performed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Notable shifts in practice-such as shortening the ritual preparation period or simplifying the offerings-reflect contemporary adaptation while retaining traditional integr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owon Memorial Rites continue to function as a living tradition. It calls for their designation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ensure their systematic protection and transmission. As a unique manifestation of Korea’s Neo-Confucian culture, these rites offer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international heritage discourse.

목차

Ⅰ. 머리말
Ⅱ. 제례보존회(祭禮保存會) 설립 배경과 활동
Ⅲ.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 활용 사례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한(Soon-Han Kim). (2025).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민족문화논총, (), 5-43

MLA

김순한(Soon-Han Kim).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祭享儀禮 활용 사례와 향후 과제." 민족문화논총, (2025): 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