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적석목곽분 부장 고구려 금속용기의 고고학적 함의
이용수 21
- 영문명
- On th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of Koguryo Metal Vessels Buried in Silla’s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강현숙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보』제136집, 645~6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신라의 적석목곽분에 부장된 금속용기 중에는 고구려와 직, 간접적 관계를 보여 주는 것이 포함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고구려 대왕의 상징이자 기념물인 금속 유개합은 높은 위상의 사회적 기물로, 적석목곽분에서는 중국 중원의 의기와 신라 양식의 개인 식음기와 함께 출토되었다. 적석목곽분 금속용기의 이러한 기종 구성은 취사·조리, 개인 식음기와 저장기 등 식생활 전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고구려 국내도성 대형 적석총의 금속용기 기종 구성과도 유사하다. 고구려 묘실벽화에 비추어 금속용기의 이러한 구성은 당시 식생활과 함께 음식 공헌 의례가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적석목곽분에서 식생활과 음식 공헌의 표현으로서 금속용기의 기종 구성을 갖춘 것은 황남대총 남분에서 처음 확인된다. 그리고 천마총 조성을 즈음하여 음식 공헌 의기의 종류와 수에서 변화가 시작된다. 신라에서 제작된 고구려식 금속용기가 부장되며, 중국 중원의 의기는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한편, 개인 식음기는 금속기에서 칠기와 목기, 토기로 대체된다. 이로부터 처음에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와 관계된 금속용기는 위세품이자 음식 공헌 의례와 식생활을 포함한 복합적 의미의 사회적 기물이었으나, 고구려와 신라 관계의 변질에 따라 사회적 효용성이 상실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결국 적석목곽분에 부장된 금속용기 구성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고구려와 신라 관계의 변질, 죽음에 대한 관념의 변화 등과 연동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some of the metal vessels buried in Silla’s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mounds (jeokseokmokgwak-bun) show a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with Koguryo. In particular, the lidded metal containers, which served as symbols and commemorative objects of the great kings of Koguryo, have not been found within Koguryo itself. But they have been unearthed from Silla’s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mounds, alongside ceremonial vessels from the Central Plains of China and personal utensils in the Silla style. The composition of the metal vessels found in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mounds represents the entire process of dining and food consumption, including cooking, personal eating and drinking vessels, and storage vessels. This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metal vessels found in large stone-mound tombs in the domestic capital of Koguryo. When viewed in relation to the murals of Koguryo tomb chambers, this arrangement of metal vessels can be interpreted as expressing not only daily life but also rituals of food offerings. This indicates that the metal vessels were not only functional items but also had ceremonial significance tied to food offerings, reflecting the cultural and ritualistic practices of the period as documented in both archaeological finds and mural depictions. The presence of this type of metal vessel composition, which expresses dining and food offerings, was first confirmed in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Around the time of Cheonmachong Tomb’s construction, changes began to occur in the types and numbers of ceremonial food offering vessels. Koguryo-style metal vessels made in Silla were buried, while ceremonial vessels from the Central Plains of China decreased or disappeared. At the same time, personal eating and drinking vessels shifted from metal to lacquerware, woodenware, and earthenware.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Koguryo-related metal vessels initially brought into Silla were prestigious items and social artifacts with complex meanings, including food offering rituals and dining, but which lost their social utility due to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Ultimately, this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metal vessels buried i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mound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as well a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eath.
목차
I. 머리말
II. 고구려산 금속용기
III. 고구려식 금속 유개합
IV. 고구려식 금속용기의 성격과 함의
V.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