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562

영문명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Freshme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강이화(Kang, Ewha)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367~3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9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창원 지역 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383명이었으며,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4개 검사로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신입생이 인식하는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험불안은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학교 신입생이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학습동기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시험불안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교육적 활용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st gra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first-year students attending five middle schools in Busan, Ulsan and Changwon. The data from four tests concerning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test anxie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a test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est anxiety has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test anxie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In other words, test anxiety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the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as reduced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middle school freshmen use learning strategy effectively and maintain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they can alleviate negative effects of test anxiety on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이화(Kang, Ewha). (2020).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8 (1), 367-382

MLA

강이화(Kang, Ewha).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8.1(2020): 367-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