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이화(Kang, Ewha)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367~3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창원 지역 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383명이었으며,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4개 검사로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신입생이 인식하는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험불안은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불안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학습전략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학교 신입생이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학습동기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시험불안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고 학교현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교육적 활용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1st gra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first-year students attending five middle schools in Busan, Ulsan and Changwon. The data from four tests concerning test anxiety,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test anxiet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a test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est anxiety has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owever,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test anxie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In other words, test anxiety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the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as reduced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mo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middle school freshmen use learning strategy effectively and maintain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they can alleviate negative effects of test anxiety on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