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eachers’Perceptions on Teaching Innovation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혁규(Lee, Hyugkyu) 김남균(Kim, Namgun) 김향정(Kim, Hyangjoung) 김병수(Kim, Byoungsu) 김민조(Kim, Minj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219~2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학교현장에서 수업혁신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왕성하게 일어나고 있고 있음에도 수업혁신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수업혁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한국 교사들이 수업 변화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바람직한 제도적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향후 한국의 수업혁신과 학교혁신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초중등학교 교원(교장, 교감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교사들은 강의식 수업에 있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혁신의 필요성 차원에서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며, 다양한 방향의 수업혁신이 필요한데 반해 실행정도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수업혁신 장애요인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대학입시 , 교사들에 대한 적절한 지원 부재 등을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수업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업무전담 요원 배치 ,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을 많이 언급하였다. 한편 초점집단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수업현실에 대한 인식이 자신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것에 비해 긍정적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들은 수업혁신의 성과와 문제점, 수업혁신의 개선방안에 대한 좀 더 전문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인식 조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수업현실과 수업혁신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반하여 수업혁신을 위한 지원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ing innovation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new innovations in the classroom to assist in teaching at school while academia scarcely pays attention to it. To address thi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how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look out for changes in classroom teaching; support they expect for desirable changes in teaching; and what policy direction can be made for innovation at school and for classroom teaching in the future. Then,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as a key method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show, at first, teachers perceive that lecture-centered teaching has changed greatly; secondly,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eaching innovation is relatively low while teachers generally agree to its necessity and require more diversified directions for teaching innovation; thirdly, teachers perceive that both ‘college entrance exam’ and ‘lack of proper support for teachers’ are two major problems preventing teaching innovation from being implemented; and lastly, teachers demand more 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fewer students per class as for policy measures. In the meantime, teachers partaking in FGIs tell that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shows a little more positive rather than that of those at school while generally agreeing that more teachers want to make innovations in classroom teaching. In this context, more affirmative measures with institutional support by government should conclusively be provided for teachers who then will benefit by making changes and innovation in the classroo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