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Counseling Majors and Their Perception of Research and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찬(Kim, Myeungchan) 송은화(Song, Eunhwa) 이현진(Lee, Hyunji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실무자 관점으로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학 분야 전공자 350명을 대상으로 학술지 연구활동, 수련활동, 대학원 교육과정 등에 대한 인식 현황, 상담자 발달 척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중 311명의 자료를 카이검증, 분산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술지 연구활동은 필요하고, 상담 실무에 도움이 되며, 상담자의 기본 역량, 상담자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77-90%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 경험은 239명(76.8%)으로 대부분 수련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원 교육과정 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3.32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활동 경험에 따른 수련 경험, 학력에 따른 연구활동 경험과 수련경험, 학술지 연구실적에 따른 개인상담 사례 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활동 경험과 수련 경험의 상호작용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담자 발달 수준은 수련경험, 개인 상담 사례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술지 연구실적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술지 연구실적과 개인 상담 사례 수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과학자-실무자 관점으로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 인식을 탐색하여 상담자 양성 과정에서 학문적 연구 능력과 실무를 통합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and training concerning those with a major in counseling from the scientist-practitioner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350 majors in counseling were surveyed on the status of awareness of academic journal research activities, training activities,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he counselor development scale. Among them, 311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vari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he percentage of those surveyed that recognized that academic journal research activities are necessary, helpful for counseling practice, and are helpful for counselors basic competence and counselor development was between 77-90%. Second, 239 majors (76.8%) experienced training, which was mostly positively experienced.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graduate school curriculum was 3.32 on the 5-point scal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training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research activities, the experience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individual counseling ca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and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experience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Fifth,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raining and the number of individual counseling cas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Also,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results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and the number of individual counseling ca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academic research abilities and practice in the process of training counselors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of majors in counseling from the scientist-practitioner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