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양진희(Yang, Jinh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271~2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안전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유아안전교육 관련 연구의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235편을 분석대상으로 UNINET 6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 네트워크에서 ‘안전’이 핵심 주제어로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육’,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그리고 ‘유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10위 내의 주제어는 ‘안전’, ‘교육’,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그리고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키워드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기관의 안전’, ‘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등 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 안전교육관련 연구들은 가정보다는 주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안전교육은 내용 및 방법적 측면과 가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함을 함축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To do this, the network text analysis through UNINET 6 was conducted for 235 articles published in KCI journals and domestic dissertations from 1995 through 2019.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es in the RISS database offer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tha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five educational discourses were ‘safe’ followed by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 and ‘young children’ in consecutive order. Second, as a result from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 for saf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five core keywords, ‘safe’,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rogram’ each had a high degree centrality. And the core connective keywords were ‘safe education program’, ‘the safe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perception of parent and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were mainly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ather than at home. So, in the futur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ntents and method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ut also more actively in connection with home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