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ultural Adaptation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최승은(Choi, Seunge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143~1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을 탐구하고, 유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생활세계 속에서 나타난 경험의 의미에 대하여 현상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의 개인적 삶을 이해하고, 유학생들을 위한 정책과 다수인 정주민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제언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하여 중국,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스리랑카 출신의 유학생 8명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문화적응 경험의 의미는‘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경계에 선 이방인’,‘언어의 높은 장벽’,‘인정받기 위한 노력’,‘커뮤니티를 통한 정서적 유대감’,‘다양한 관계 맺기’,‘상호문화적 매개자’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이들의 다양한 경험들은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출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새롭게 접한 거주지 문화와도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문화적응 유형이 통합이기 때문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정책이 행정적인 양적 증대를 넘어 실제 생활세계에서 필요한 질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유학생들의 목소리에 지속적으로 귀를 기울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their worlds through the stories as told by them. The paper also aims to understand the personal lives of foreign students, and to suggest a policy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a shift in social awareness in regular Korean society. For this research, eight foreign students from China, Vietnam, Philippines, Cambodia and Sri Lanka were interviewed in-depth for the data. As a result, the meaning of experiences related to cultural adapt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as follows: “aspire to a new world”, “strangers on the border”, high barriers of language”, “efforts for recognition”, “emotional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ty”, “various relationships”, “intercultural mediators”. Their diverse experiences during cultural adaptation are the foundation for successfully studying abroad. This is because integration is a type of cultural adaptation that maintains an identity of one’s original culture and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ew residential culture. The government and university polic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continue to listen to the voices of foreign students so that they can go beyond administrative quantitative growth and provide the necessary quality support in the real wor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