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m Based Learning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형정(Cho, Hyungjung) 김명랑(Kim, Myoungla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65~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성화고등학교의 NCS 교육과정은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미 있는 제도적 장치로 인식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학교현장 교사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수업 운영에 대한 구체적 안내를 제공하는데 있어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수업의 방향성과 수업 내 팀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논하고, 직업기초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을 국어교과와 연계한 수업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 연계방안과 팀기반학습 절차를 개발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요소를 적용하여 팀기반학습 절차에 따라 요구되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고, 일련의 과정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 수업설계와 자료개발에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nd develop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team-based learning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is perceived as the institutional strategy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However, teachers can be limited to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subject. For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instructions for team-based learning and developed TBL cases us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vocational ke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hods were develop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connecting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eam-based learning procedures to improv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Second,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TBL according to team-based learning procedures were developed, and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guide for team-based learning designs and development for improv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