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f Noise Levels of Classrooms in Nurse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애(Lee, Younga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295~3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 교실 내 전반적인 소음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자체 내 소음 수준을 지점별로 측정하였다. 어린이집 교실 내 소음 측정은 Integrated Sound Level Meter(TES53S)를 사용하여 어린이집을 직접 방문하여 측정하는 현장측정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어린이집에 등원한 원아들이 일과 활동을 하고 있는 교실을 측정공간으로 하여 각 교실의 크기와 형태, 흥미영역의 구성, 원아들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세 군데의 중간지점을 설정하고 45분 동안 각 지점별로 5분 간격이 되도록 세 지점을 돌아가며 3회씩 차례대로 등가소음레벨을 측정하였다. 소음측정과 동시에 교실 내 영상 촬영을 통해 소음측정 당시 흥미영역별 유아의 인원수, 놀이 형태 등을 관찰 기록하였다. 각 교실별 등가소음레벨과 최고소음, 최소소음을 살펴본 결과, 교실 내 소음 수준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등가소음레벨의 평균값은 73.7~83.1dB(A)이었는데, 학교소음 허용치인 50dB(A)을 모두 넘는 수준이었다. 소음 수준의 지점별 차이는 없었다. 유아들이 마음껏 몰입하고 놀이할 수 있는 환경과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과 동시에 교사와 유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교실 내 환경적 소음저감 대책 또한 시급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noise during free-play time in nursery schools.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noise levels of 10 classrooms in three nursery schools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8, 2018. We measured the noise levels with an Integrated Sound Level Meter (TES53S). Considering play centers, classroom size, and children’s pathways, we settled on three places for the measurements and recorded the noise level at each spot three times every 5 minutes for 45 minutes in total. We assessed the average level of noise, maximum level, and minimum standards. The observer observed children s play and recorded field notes as we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oise levels were high. The overall average sound levels were 73.7~83.1 dB(A)(A), and the value was above the standard for school noise level allowances.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policies that look at environmental and acoustic factors in nursery schools and, where required, should reduce noise levels. Children should not be at risk for hearing loss during play time and neither should school staff an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