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dagogy of Difference and Individualized Support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actical Strategies as an Altern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허승준(Hur, Suhngjun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 대신 ‘지원’, ‘특수교육’ 대신 ‘개별화지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제안이 있다. 이러한 제안은 차이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 근거한다. 이 논문에서는 차이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통해 개별화지원이 인간의 차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사물과 개념을 동일시하는 것을 동일성 사유라고 한다. 예컨대 ‘장애’라는 개념은 이 개념이 포함하는 개별 인간들을 동일시하여 ‘장애’라는 개념 속에 가둬버린다. 이는 ‘비장애’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비장애’는 이 개념에 포함되는 인간들이 자신들은 ‘장애’라는 낙인으로부터 자유로운 우월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러한 이분법적 개념 구분은 인간의 개별성을 동일성으로 전환함으로써 인간의 존재 근거인 차이를 무시한다. 들뢰즈는 차이가 존재고 존재가 차이라고 말한다. 차이로 인해 모든 존재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은 존재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이 된다. 이러한 교육의 대표 사례가 장애/비장애와 같은 이분법적 집단 구분이다. 차이는 자연스럽고 가치중립적 현상이며, 이때 가치는 상대적 가치가 아니라 절대적 가치다. 차이를 고려하는 교육, 즉 차이의 교육은 인간의 차이를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이를 실현하는 것을 차이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차이화를 위한 교육적 지원이 특수교육 대안 용어로 제시한 개별화지원이다. 개별화지원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체제가 일원화된 상태에서 다양한 지원체제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 진단이 아닌 요구분석 체제를 갖추어 학생의 개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는 원리인 보편적 설계를 교육에 적용한 보편적 학습설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체제를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suggests that we need to use ‘support’ instead of ‘disability’ and ‘individualized support’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dividualized support was related with human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uman differences and suggested what the general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support were.
Identifying things with notions is called the thought of identification. For example, the notion of ‘disability’ confines an individual human in the disability notion. It’s same as in the case of ‘without disability’ or ‘non-disability’. However ‘without disability’ is a notion for the human without disabilities to emphasize their superiorities that they are free from the disability stigma. This dichotomy of notion disregards the difference which is the basis of existence of human being by transferring human individuality to an identity.
Deleuze emphasizes the difference itself is the being and the being itself is the difference. The being is revealed by the difference. Therefore a pedagogy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 means one without considering the being. The main example of this kind of pedagogy is human grouping by dichotomy. The difference is a natural and value-neutral phenomenon, and the value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The pedagogy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at is, the pedagogy of difference aims at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The realization of difference means differenti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differentiation is the individualized support suggested for the altern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constructing the various support system should take precedence in the basis of building a mono-system of pedagogy. We also should analyze the individuality of students not by diagnosing the disabilities but by analyzing their needs and construct the system of universal design of learning. Finally, we should construct a cooperation system among various professionals to implement the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successfully.
목차
Ⅰ. 서 론
Ⅱ. 차이의 철학과 교육
Ⅲ. 차이화와 개별화지원
Ⅳ. 개별화지원의 실행 전략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