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Value Congruenc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광성(Lee, Kwangs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47~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육현장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첫째, 개인 가치에 있어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이고, 조직 가치와 가치적합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학교이다. 둘째, 개인 가치, 조직 가치와 가치적합성을 묻는 하위 문항들의 신뢰도는 모두 Cronbach s α는 .70 이상이었다. 셋째, 가치적합성은 집단 합리성, 집단 질, 집단 인간성, 집단 혁신을 묻는 문항과 관계가 높았으며, 개인 가치를 묻는 문항들은 개인 가치를 묻는 문항들끼리, 조직 가치를 묻는 문항들도 조직 가치를 묻는 문항들끼리 서로 관계가 높았다. 넷째, 본 모형의 설명력은 55.8%로 나타났고, 이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인 조직 가치가 개인 가치나 여러 일반적 특성보다 가치적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value Congruence. This research reviewed how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individual values, Organizational values and value Congruence. To address this goal, explor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analysis of varience were employed, 112 elementary students were th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 Among many variables, Organizational valu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ngru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values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value congruence.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organizations as they can now better predict the value congruence among the students and better develop the organizational value to fit with the individual values. We end by discussing directions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value Congruence for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