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Development Levels and Career Counselor Competency: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Counseling Case Conceptualization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선(Kim, Mins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1호, 343~3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자 발달 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두 변인의 관계를 진로상담 사례개념화 역량(내담자 특성에 대한 이해, 가족에 대한 탐색,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상담목표 설정 및 개입)이 중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상담자 26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앞서 상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경력, 기관)에서 주요 변인들의 평균 차이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상담 사례개념화 역량을 제외하고 집단에 따른 평균 차이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심리상담 사례개념화 역량을 통제한 이후에도 상담자 발달 수준은 진로상담 역량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자 발달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상담 역량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진로상담 사례개념화 역량 중 진로상담 목표설정 및 개입은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를 유의하게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career counseling conceptualization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unselor development status and career counseling competency.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from 265 counselors. Prior to the analysis, a multivariate ANOVA was used to see if the mean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in the consultant 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years of working, work place, etc.)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mean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all significant except their ability to conceptualize psychological counseling cases. Even after controlling self-assessment of counseling conceptualization competency,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counseling competency.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increased the career counseling capacity. Meanwhile, setting career counseling goals and intervening were shown to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 of counselors and their career counseling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훈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학교 신입생의 시험불안과 학습전략,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지원
- 특성화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개발 사례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적정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 ‘개성조사’ 연구
-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정해체를 경험한 이주여성의 자녀 언어 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상담자 발달수준과 진로상담 역량의 관계
-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발생하는 교실 내 소음 실태
- 상담학 분야 전공자의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현황 탐색
- 농업교사의 자격과 경력별 교육요구
-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적용 개념에 따른 다양한 평가의 필요성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