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허재은 소피아 누리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473~5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refugee education is addressed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identifies i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s.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tudy analyzed refugee-related content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framework for the elementary curriculum,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moral/ethics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lthough refugees are officially classified as “multicultural students,” refugee-related content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s, overall, extremely limited and primarily presented as part of international social issues rather than domestic realities. This lack of representation risks reinforcing the perception of refugees as “others” and encourages students to view refugee issues as distant from Korean society.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e study recommends systematically integrating education about refugees into the formal curriculum and including narratives of resettled refugee children. These approaches can help students develop empathetic and critical attitudes toward refugees, recognizing them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Such educational efforts are expected to improve social perceptions of refuge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building an inclu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영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초등교육과정에서 난민 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 실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질적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2022 개정 초등교육과정 총론, 사회과 교육과정, 도덕과 교육 과정, 그리고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에 나타난 난민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난민은 공식적으로 ‘다문화 학생' 범주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육과정에서 난민 관련 내용은 극히 제한적이며 주로 국제적 사회 문제의 일부로만 제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부재와 한계는 난민을 ‘타자'로 인식하게 하고, 학생들이 난민 문제를 한국 사회와 동떨어진 사안으로 인식할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난민 관련 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난민 아동의 내러티브를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난민을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공감작비판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노력은 난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포용적 다문화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 Introduction
II . Literature Review
Ⅲ.Theoretical Framework
Ⅳ. Methodology
V. Results
VI . Implication and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재은,소피아 누리. (2025).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다문화교육연구, 18 (3), 473-500

MLA

허재은,소피아 누리.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473-5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