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Practicum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School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미혜 박윤경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407~44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에서의 실습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인 A초등학교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밀집학교 실습에서 문화적 차이로 인한 학생 이해의 어려움과 함께 언어적 차이로 인한 교육적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초기 적응의 어려움에도 예비교사들은 밀집학교 실습 과정에서의 교육적 도전을 통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와 효능감 상승이라는 성장을 경험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밀집학교 실습 과정에서 네 가지 딜레마에 직면했다: 1) 문화적 다양성과 시민교육적 가치 충돌의 딜레마, 2) 이주민 학생 배려와 선주민 학생 역차별의 딜레마, 3) 이중언어 환경에서의 역할 분담과 교사의 전문성 사이의 딜레마, 4) 밀집학교 전문성 성장 경험과 회피 기제 작동 사이의 딜레마.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이 갖는 ‘불완전한 변혁적 학습’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고, 향후 밀집학교 실습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acticum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en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teaching practicum at “A” elementary school, a multicultural-concentrated school in the Chungbuk reg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udent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s well as educational challenges stemming from language barriers. Second, despite initial adaptation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growth through the educational challenges of the practicum, including a shift in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 enhanced sense of efficacy.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faced four dilemmas during the practicum: (1) the dilemma between cultural diversity and civic values, (2) the dilemma between considering immigrant students and the risk of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native students, (3) the dilemma between role-sharing in bilingual contexts and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and (4) the dilemma between professional growth and avoidance mechanisms in multicultural concentrated school practicu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such practicums as a form of “incomplete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future practicum programs in multicultural-concentrated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교육실습 경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혜,박윤경. (2025).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 (3), 407-441

MLA

김미혜,박윤경.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407-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