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gnitive and behavioral classifications of large-scale mathematics assessment items and teachers’ understanding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박수민(Soo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8권 제3호, 305~3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서의 인지·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TIMSS, PISA, NAEA, CSAT 등 국내·외 대규모 수학 평가틀의 정의와 분류 방식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실제 문항 및 교사의 이해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각 평가틀의 영역 정의와 하위 분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대표 문항 사례를 통해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각 평가체계는 평가 목적, 교육과정과의 정합성, 사고 수준 위계 설정 방식에서차별적인 접근을 보였다. 이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인지·행동 영역의 개념적 정의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나, 실제문항 분류에서는 영역 간 경계의 모호성으로 인해 혼재된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이해’, ‘추론’, ‘문제 해결’ 영역의 구분에서 일관성이 낮아, 이론적지식과 실제 적용 간의 간극이 확인되었다. 이는 교사의 평가틀 적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실천 중심의 연수와 다양한 문항 사례 기반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국내 수학 평가틀의 정교화, 교사의 평가 역량 제고, 국제 비교 및 교육과정 개선 논의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lassifications within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comparing th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methods of large-scale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s, including TIMSS, PISA, NAEA, and CSAT, and by examining their connections to actual assessment items and teachers’ understanding. The analy sis of domain definitions and changes in subcategories, together with illustrative items, identified key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at each assessment adopted different approaches in terms of purpose, curriculum alignment, and the structuring of cognitive hierarchie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eacher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definitions, their classifications of actual items revealed inconsistencies due to ambiguous boundaries between domains. In par ticular, distinguishing among understanding,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domains showed low consistency, confirming a gap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appl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practice-oriented training and diverse item-based exercises to strengthen teachers’ ability to apply assessment framework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refining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s, enhancing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and supporting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comparisons and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인지·행동 영역의 분류
Ⅲ. 국내·외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Ⅳ.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교사의 인지·행동 영역에 대한 이해도 조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3호 목차
- 평면도형의 이동으로 살펴본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 ‘모든 수열’ 표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교육적 고찰
-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부정적 표현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교 1학년 자료와 가능성 영역 교수·학습에서 갤러리 워크 활동의 영향에 대한 사례 탐색
-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기반한 통계포스터 제작 프로젝트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에 관한 연구
- 수학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가치-비용 잠재프로파일: 학업 행동과 성취 차이 분석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