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Refugee Status of Koryo-saram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lying the Cartagena Declaration Refugee Defini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한연수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355~37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려인의 국적 회복의 당위성을 주장하고자 카타헤나 선언이 난민에 대해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음에 현재 고려인의 선대들의 강제 이주된 상황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 이에 고려인 강제 이주가 외부적 요인들에 의한 점진적·구조적 난민화로 고려인의 난민성을 역사적 사건들을 맥락으로 카타헤나 선언의 난민 정의에 적용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려인의 국적 회복을 주장함으로써, 심화되어 가는 다문화현상을 한국만의 방식으로 극복하고, 다문화주의 가치와 다문화사회통합의 목표를 이루어 가는데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연구 의의가 있다. 이에 카타헤나 선언의 난민 정의가 정하고 있는 난민 발생의 구체적 상황들에 고려인의 강제 이주 된 역사적 배경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이주하게 된 주요 원인을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 고려인은 국가 및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로 난민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과거의 일이 아님은 무국적자로 남아 있는 고려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장이 실현됨은 한국 다문화사회의 국제화와 난민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교육으로 연결됨은 세계시민의식 향상과 국제적 위상에도 기여되는 바가 있을 것으로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발전도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gues for the restoration of Koryo-saram nationality. The Cartagena declaration's comprehensive definition of refugee fully explains the current forced migration of Koryo-saram forefather.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gradual and structural displacement of Koryo-saram due to external factors, applying the Cartagena declaration's definition of refugee to historical events. By advocating for the restoration of the Koryo-saram nationalit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uniquely Korean approach to overcoming deepening multicultural phenomenon and to achieve multicultural values ​​and the eventual goal of multicultural integration.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yo-saram's forced migration, categoriz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refugee occurrences as defined by the Cartagena declaration's definition of refugee. The analysis reveals that Koryo-saram are refugees du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e state and society. This is not a historical phenomenon, as Koryo-saram still exist as stateless individuals. Accordingly, the realization of the argument of this study will lead to education that broadens the scope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refugee issue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and international status, and through this,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lso expected.

목차

Ⅰ. 서론
Ⅱ. 카타헤나 선언과 기존 난민에 대한 정의 비교
Ⅲ. 카타헤나 선언과 난민 정의 범위와 고려인의 난민성
Ⅳ. 고려인의 법적 지위의 불합치와 교육에서의 문제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연수. (2025).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다문화교육연구, 18 (3), 355-374

MLA

한연수.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35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