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s with Immigrant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진 정주리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들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상담자들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들을 상담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 및 이들의 노력과 대처 전략에 대한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조망하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G 광역시에서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비율이 높은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4명의 학교상담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연구 참여자 개별 내러티브로 제시하였고, 공통으로 나타난 주제에 따라 5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첫째,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을 만나 고군분투하다. 둘째, 언어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소통하기 어렵다. 셋째, 학부모와 협력이 매우 어렵다. 넷째, 이중언어강사와의 관계에서 딜레마를 겪는다. 다섯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애쓰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하다를 통해 이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에 대한 실질적인 상담 지원과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제안과 함께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working with immigrant students who entered Korea midway through their schooling.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faced by school counselors, as well as the efforts and coping strategies they employ when working with immigrant students, a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adopted. Four school counselo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ithin G Metropolitan City, where a significant number of immigrant students resid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individual narratives and the common themes that emerged across the cases, the analysis was organized into five thematic categories: struggling to support immigrant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encountering significant challenges in collaborating with parents, experiencing dilemmas in relationships with bilingual instructors, and making efforts to overcome limitations yet still feeling insufficient. The narrative was analyzed through a retelling of their stories.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counseling support and establishing effective approaches to working with immigrant students. The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다문화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한 수정된 RVI 접근법 기반 어휘 교수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 어휘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역 규모와 지원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2007~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교양농업교육 내용 비교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내 발명교육 내용 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