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Adaptation Program for Immigrant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선 이윤정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309~3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법무부가 주관하는 ‘이민자 조기 적응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운영자와 교수자들의 생생한 경험 속에 담긴 본질과 의미 구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운영 경험이 있는 8명의 참여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운영 경험은 네 가지 핵심 주제로 도출되었다. 첫째, ‘직업적 성장과 이주민 지원의 교차점’으로, 참여자들은 개인의 경력 개발이라는 현실적 목표와 이주민을 돕는 사명감 사이에서 복합적인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와 현실적 한계’로, 이주민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는 데서 오는 보람과 프로그램이 비자 취득의 수단으로 변질되는 현실적 딜레마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행정적 부담과 소통의 장벽’으로, 예측 불가능한 지침 변경과 과도한 민원 업무로 인한 실무적, 감정적 소진을 겪고 있었다. 넷째, ‘제도적 정착과 맞춤형 지원 요구’로서,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통역 지원, 의무 대상 확대, 후속 프로그램 연계 등 구조적인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운영 경험의 본질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제도의 발전을 촉진하는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기 인식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정책 전달자의 관점을 심층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현장 기반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정책 전달자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structures embedded in the lived experiences of operators and instructors implementing the "Early Immigrant Adaptation Program," hos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articipants with program experien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ur core them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operational experiences. First, regarding the "intersection of professional growth and immigrant support", participants were motivated by a complex mix of practical goals for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nd a sense of mission to help immigrants. Second,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imultaneous reward of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to immigrants and the practical dilemma of the program being transformed into a means of obtaining visas. Third,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burden and communication barriers",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ract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due to unpredictable changes in guidelines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loads. Fourth, regarding the "demand for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nd customized support," there was a strong demand for structural improvements, such as interpretation support, expansion of mandatory targets, and linkage to follow-up programs, to overcome on-site difficulties. The essence of the operational experience derived from this analysis was "a process of self-awareness as a practical agent who struggles amid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and promotes institu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ield-based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cal program improvements by deeply examining the perspectives of policy deliverers,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선,이윤정. (2025).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 (3), 309-332

MLA

박정선,이윤정.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309-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