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Changes in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Migrant-background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연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이주배경학생 지원’으로 전환되는 정책의 변화 과정을 CIPP 모형(Context, Input, Process, Product)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중앙정부(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의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2006년 이후 제도화 과정을 포괄하되, 2020년 이후 교육부 및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의 변화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는 이주배경학생 정책의 대상과 범주를 확대하고 포용교육체제의 제도화를 강화했으며, 경기도교육청은 현장 밀착형 맞춤 지원과 지역사회 연계 방안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또한, 정책대상의 포괄성, 실행 주체의 다변화, 이중언어 교육 강화, 성장단계별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에서 두 기관 간 차별성과 공통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에서 ‘이주배경’으로의 정책담론 전환이 단순한 용어 변경이 아닌, 정책 대상의 확대, 정책 목표의 변화, 실행체계 등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현장의 포용성과 다양성 확대, 이주배경학생 지원정책의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제도화 전략 수립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shift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to ‘educational support for migrant-background students’ by analyzing policy chang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GPOE) through the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since 2006, it highlights shifts after 2020. The MOE expanded the categories and target groups of migrant-background students and reinforced an inclusive education system, while the GPOE emphasized field-based support and community collabor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policy inclusiveness, diversification of actors, bilingual education, and stage-based programs. The findings show that the move from ‘multicultural’ to ‘migrant background’ represents not just a terminological change but 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volving broader policy targets, revised goals, and restructured implementation systems. The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inclusivity and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support policies for migrant-backgroun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연. (2025).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 (3), 213-236

MLA

김지연.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