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이용수 3
- 영문명
- How to Incorporate the “Culture” of Migrant Students: KSL Teaching Practices through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류영휘 강지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37~2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주 배경 학생들이 교실에 가져오는 문화를 다층적 자산으로 바라보고, 이들이 교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교육적 자원으로 재구성되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이주 배경 학생이 다수 재학 중인 공립 초등학교의 KSL 교실에서 실천가 탐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가져오는 민족 문화, 이주 문화, 어린이 대중문화 등의 다양한 문화적 자원이 어떻게 교육과정 속에서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감응교수는 특정 문화 요소를 소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이 함께 문화를 구성해 나가는 역동적이고 관계적인 실천임을 보여준다. 특히, 교사의 비판적 성찰과 신뢰 기반의 관계 형성이 문화감응교수를 실천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학생의 문화적 정체성과 삶의 경험이 살아 있는 교육 자원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의 맥락에서 자산 기반, 관계 중심, 비판적 성찰을 동반한 문화감응교수의 실천을 구체화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CRP) can be reimagined through the lived teaching practices in a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lassroom in a migrant-concentrated public elementary school. Drawing on practitioner inquiry, the study explores the multifaceted cultural assets that migrant-background students bring to the classroom and how these are dynamically reconstructed through teacher-student interactions. Moving beyond essentialist and tokenistic approaches, this research highlights how students’ cultural experiences—including national/ethnic cultures, transnational experiences, and popular culture—are reinterpreted and transformed into educational resources through co-constructed curriculum practices. Findings suggest that CRP should not be reduced to introducing fixed cultural content but must be understood as an evolving pedagogy grounded in trust, emotional safety, and the teacher’s critical reflection on their own positionality and assumptions about culture. The study offers practical insights into developing asset-based, relational, and critically reflexive CRP within Korean education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다문화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한 수정된 RVI 접근법 기반 어휘 교수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 어휘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역 규모와 지원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글로벌 역량 격차 완화에 미치는 효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한국 데이터 분석
-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다문화 청소년의 계획된 우연 기술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 및 진로태도결정성의 관계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 다문화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적 언어 교과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성 강화 방안 모색
-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