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 Mentors and Institutional Personnel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Mentoring Support Projects - The Case of Daegu Catholic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아빈 한수민 김동일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375~40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멘토링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대학생 멘토와 멘티 소속 기관 담당자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다문화멘토링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생 멘토와 협력 기관 담당자에게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멘토는 다문화 아동을 동등한 존재로 인식하여 학업 지원에 초점을 둔 반면, 기관 담당자는 다문화 아동을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보고 언어교육, 정서 지원, 학업 지원, 문화 체험, 진로 및 취업 지원 등의 다방면적 지원을 중시하고 있었다. 질적분석에서 대학생 멘토는 멘토와 멘티 간 관계 중심의 지원을, 기관 담당자는 멘티 지원 프로그램 및 대학생 멘토 대상 교육 강화를 요구하였다. 이는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가 다문화멘토링에 있어서 역할 기대와 운영 방식에 대한 견해 차이를 나타낸다.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공통적인 요구 사항은 매칭시스템의 개선, 사전교육 및 간담회 강화, 다문화멘토링의 중심으로서의 대학의 역할에 대한 요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를 중심으로 멘토링 상호연계의 중요성과 대학의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multicultural mentoring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 mentors and institutional staff. Based on surveys and interviews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student mentors viewed multicultural children as equals and focused on academic support and building relationships. In contrast, institutional staff emphasized holistic care, including emotional, cultural, and career-related support, viewing the children as needing comprehensive assistanc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student mentors favored relational approaches, while staff called for stronger programs and expanded mentor training. Despite these differences, both groups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matching systems, enhance pre-training and discussions, and strengthen the university’s central role in the system. These findings underline the importance of a university-led collaboration model to align stakeholder perspectives and support more effective and lasting mentoring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멘토링 사업의 배경
Ⅲ. 설문분석
Ⅳ. 질적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다문화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한 수정된 RVI 접근법 기반 어휘 교수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 어휘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역 규모와 지원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글로벌 역량 격차 완화에 미치는 효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한국 데이터 분석
-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다문화 청소년의 계획된 우연 기술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 및 진로태도결정성의 관계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 다문화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적 언어 교과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성 강화 방안 모색
-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