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이용수  0

영문명
Future Directions of South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ith Canada’s Individual Education Plan (IEP)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민수경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85~3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구조적 한계를 진단함과 동시에 향후 정책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동화주의적 접근에서 출발하여 대상과 내용이 점차 확대되어 왔으나 여전히 정책 실행 면에서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나다의 Individual Education Plan(IEP) 정책을 비교사례로 삼아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보완점과 발전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IEP는 학생 개개인의 강점과 교육적 필요를 진단한 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으로서, 모든 학생의 개별적인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IEP는 장애학생, 영재학생, 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 다문화학생 등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삼으며 일반교육이 충족하지 못하는 학습적·정서적 필요를 보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특히 대상의 포괄성, 사회정서 지원, 그리고 학교장 중심의 실행체계라는 측면에서 IEP는 주목할 만한 교육정책이다. 이에 본 연구는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세 가지 주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다문화가정 학생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확장함으로써, 평등과 포용의 가치를 범사회적으로 실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학생의 학업을 넘어 심리·정서적 안정과 또래관계 형성 등 사회정서역량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학교장이 주도하는 문화감응적 리더십을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의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하고, 학교 전체가 다문화 친화적 문화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교육의 구조적 재편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교육적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outh Korea is undergoing a rapid transi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t is only steps away from becoming the first country in Asia to be officially categorized as a multicultural n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ssues with South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proposes recommenda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by conducting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ith Canada’s Individual Education Plan (IEP). IEP is a policy designed to address student’s various educational needs that cannot be fully met through general education alone. By assessing each student’s strengths and providing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and services, IEP ultimately allows maximum growth of individual’s potential and holistic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s three key recommendations for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IEP.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be expanded beyond students of non-Korean nationalities and ethnicities to include all students, and should attempt to promot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inclusiveness at the societal level. Second, support programs should not only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s but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social-emotional experiences in order to foster healthy identity development, peer-relationships, and the holistic wellbeing of the students. Third, principals and educational leader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and practice culturally responsive school leadership (CRSL) that can create a school culture of inclusion and diversity, and implement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for a redefi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from a compensatory approach targeting specific groups to a form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all students—laying the groundwork for a transformative shift in educational policy that can create an inclusive and equitable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수경. (2025).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다문화교육연구, 18 (3), 285-307

MLA

민수경.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285-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