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expectation and using of AIDT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선희(Sun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8권 제3호, 327~3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DT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이 어떤 기대를 하고 수학 수업에 어떻게 활용하고자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범대학 3학년수학 예비교사 5명이 AIDT 프로토타입을 토대로 수학 AIDT의 기능을 활용한 수학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수업을 참관한 동료 예비교사들이어떤 장단점을 인식했는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 대시보드, 학습 진단 및 분석, 교과서 재구성, AI 튜터, 시뮬레이션 기능을 활용하려 하였고, 수업에 적용하지는 못했지만 AI 보조교사를 활용한 수준별 맞춤 문제 제공, 즉각적인 피드백, 다양한 자료 탑재 등을 요구하였다. 수업을참관한 동료 수학 예비교사들은 학생과 교사의 관점에서 AIDT의 장단점을 인식하였는데, 학생 관점에서는 수업 활동, 정의적 측면, 개별 맞춤형 학습, 디지털 기기에 대하여, 교사 관점에서는 수업 개선, 교과서 재구성, 학습 진단, 수준별 과제 제공, 디지털 기기, 업무량 범주에서 장단점을 보고하면서 AIDT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 교육과 AIDT 활용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intend to implement AIDT in math classes and how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IDT. Based on the AIDT prototype, five pre-service math teachers in the third grad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designed and executed a math class using the functions of AIDT, and the AIDT functions shown in the class were teacher’s dashboard, learning diagnosis and analysis, textbook reorganization, AI tutor, and simulation. Although it was not applied to the class, pre-service teachers expected AIDT to provide personalized items for each level using AI assistants, immediate feedback, and various materials. Meanwhile, peer pre-service math teachers who attended this class recogni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IDT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ir advantages were recognized more than disadvantages. From a student's point of view, class activities, affective do main, personalized learning, and digital devices were recognized, and from a teacher's point of view, teaching and learning im provement, textbook reorganization, learning diagnosis, task provision by level, digital devices, and workload categories were represented. Through this, follow-up studie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use of AIDT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3호 목차
- 평면도형의 이동으로 살펴본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 ‘모든 수열’ 표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교육적 고찰
-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부정적 표현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교 1학년 자료와 가능성 영역 교수·학습에서 갤러리 워크 활동의 영향에 대한 사례 탐색
-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기반한 통계포스터 제작 프로젝트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에 관한 연구
- 수학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가치-비용 잠재프로파일: 학업 행동과 성취 차이 분석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