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Meta-Analysis of Career and Vocational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최세운 주향하 조영희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51~18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5년 4월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 15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의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 및 직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총 111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무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적용한 결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32로, 중간에서 큰 정도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중재 효과는 중도입국 청소년, 초등학교 고학년, 회기 수가 10회 이상인 프로그램, 회기당 시간 81~110분, 대집단 중재, 학교 기반 실시 환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교사가 실시한 프로그램이나 충실도(fidelity)가 보고된 프로그램 또한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상담 기반 중재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진로 인식과 진로 성숙 관련 변인이 가장 강한 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진로 의사결정, 적응력, 탐색 관련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있어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areer and vo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using a meta-analysis of 15 domestic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April 2025. Using 111 effect sizes and a random effects model,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0.932, indicating a moderate to large positive effect. Effectiveness was higher for those with immigrant backgrounds, upper elementary students, programs with over 10 sessions, session lengths of 81–110 minutes, large group formats, and school-based settings. Teacher-led programs and those with reported fidelity also showed stronger effects. Counseling-based interventions had the highest impact, and career awareness and career maturity showed the strongest effects, while career decision-making, adaptability, and exploration outcom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support for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s and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세운,주향하,조영희. (2025).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8 (3), 151-183

MLA

최세운,주향하,조영희.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8.3(2025): 151-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