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적 언어 교과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성 강화 방안 모색
이용수 0
- 영문명
- Toward a More Inclusiv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sights from Sweden’s Language-Related Subjec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영자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443~47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에서 언어 관련 교과 교육과정과 운영 방식을 분석해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최근 스웨덴에서 2022년에 개정한 초‧중학교 교육과정의 언어 관련 7개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스웨덴 국가교육청 통계자료와 학술 문헌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운영의 실제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 스웨덴에서는 국가교육과정에 제2언어로서의 스웨덴어, 모국어, 원주민의 언어‧문화인 사미 교육과정 등을 편성‧운영하여 이주배경학생과 역사적 소수민족 학생의 언어와 문화 정체성을 보호할 뿐 아니라, 다수자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해 교육 포용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주배경학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국 상황을 고려하여, 국가교육과정에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과를 포함하고, 유산 언어에 대한 보충적 교육 지원 지침을 추가하며, 한국의 역사적 소수자인 코리안 디아스포라 귀환자 집단의 역사, 문화, 정체성 등을 관련 교과교육에 포함하는 등의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이러한 개선 방향은 모든 학생을 위한 형평성 있고 포용적인 교육과정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weden’s inclusive national curriculum designs and implements its language related subjects, aiming to identify potential improvements for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Seven language‑related subjects from Sweden’s 2022 revised curriculum for compulsory schools were analyzed, and their implementation was reviewed through official statistics from the Swed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and relevant scholarly literatu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Sweden formally integrates Swedish as a Second Language, Mother Tongue, and Sami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approach not only safeguard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ies of school-age minority groups with a background of migration and historical minorities, but also promotes inclusivity for all students, including those from the majority population.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proposes three key reforms for Korea’s national curriculum: (1) recogniz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s a subject for learners who require it; (2) including guidelines for supplemental support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nd (3) incorporating the histories, cultures, and identities of historical minority or “diaspora returnee” groups into relevant subjects. These recommendations aim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more equitable and inclusive curriculum that ensures all learners—regardless of linguistic or cultural background—have fair opportunities and meaningful educational outcomes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스웨덴 사회와 교육의 맥락에 대한 이해
Ⅲ. 선행 연구와 연구 방법
Ⅳ. 스웨덴 초·중학교 국가교육과정 언어 관련 교과교육 체계 분석
Ⅴ.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다문화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한 수정된 RVI 접근법 기반 어휘 교수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 어휘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역 규모와 지원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글로벌 역량 격차 완화에 미치는 효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한국 데이터 분석
-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다문화 청소년의 계획된 우연 기술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 및 진로태도결정성의 관계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 다문화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적 언어 교과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성 강화 방안 모색
-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