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글로벌 역량 격차 완화에 미치는 효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한국 데이터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Teachers’ Multicultural Professional Development on Reducing the Gaps in Students’ Global Competence: An Analysis of Global Competence Data for Korea in PISA 2018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문재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63~2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초래되는 글로벌 역량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완화기제로 작용하는지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ISA 2018 한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 6,617명과 188개 학교 자료를 2수준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학생의 글로벌 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그 영향력을 부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교육격차 해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 수준이 높을수록 글로벌 역량 수준이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취약한 가정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기제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긴요한 요인임을 인식하고 향후 공정하고 포용적인 글로벌 역량 교육을 위한 체계적 지원 및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증진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계발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ESCS) on their global competence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s’ multicultural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ducing ESCS-based disparities. Using data from the 2018 PISA dataset, which includes 6,617 students across 188 schools in Korea,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multicultural professional development parti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CS and global competence. Specifically, students with lower ESC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global competence when taught by teachers with greater levels of multicultural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hancing teachers’ multicultural capacity can serve as a meaningful policy strategy for promoting equity in global compete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상담자의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 상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다문화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한 수정된 RVI 접근법 기반 어휘 교수 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 어휘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역 규모와 지원방식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국내 다문화 청소년 대상 진로직업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 교사의 다문화 전문성 계발이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글로벌 역량 격차 완화에 미치는 효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한국 데이터 분석
- 한국 다문화교육의 미래과제: 캐나다 IEP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언
- 이민자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다문화 청소년의 계획된 우연 기술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 및 진로태도결정성의 관계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의 고려인의 난민성 탐색: 카타헤나 선언 난민 정의 적용
- 다문화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대학생 멘토와 기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스웨덴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적 언어 교과교육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 국가교육과정의 포용성 강화 방안 모색
- A Critical Analysis of Refugee Education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