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School Spaces through Emotional Mapping Project Lessons in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정시은 한동균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165~1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정지리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개인의 감정을 지도 위에 시각화하는 감정지도화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공간에 부여하는 감정과 의미를 인식하고 표현하도록 설계하였다. 서울 소재 공립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20명)을 대상으로 11차시 수업을 적용하고, 혼합연구 설계에 따라 사전·사후 설문과 성찰문, 면담, 관찰 기록을 수집·분석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인지 영역과 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은 양적으로는 변화가 제한적이었으나 질적 자료에서 장소특정적 애착의 심화가 확인되었다. 수업 과정 전반에서 학생들의 참여 의지와 학습 몰입도 높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2022 개정 사회과의 핵심 아이디어인 ‘장소 경험’과 ‘장소감’을 체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감정지도화 활동을 학년군 연계 주제로 조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감정지도화 수업 설계는 먼저 학생이 자신의 감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감정인식 – 탐방 – 지도화 – 건의 – 피드백으로 이어지도록 학습자의 참여와 반영, 그리고 실제 변화가 맞물리는 선순환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장 일반화를 위해 감정 어휘 지도와 감정–공간 서사 읽기, 학생 건의의 학교 의사결정 연계를 핵심으로 한 교수‧학습 자료 및 교사용 연수 모듈을 개발및 보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단일 학급 사례에 근거하여 비교 집단이 부재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학교 공간에서 경험하는 감정이 지리적 인식과 실천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감정지도화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emotional guidance project class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place. To this end, it was designed to recognize and express the emotions and meanings that students give to the space, focusing on emotional guidance activities that visualize individual emotions on a map. The 11th class was applied to one class (20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s, reflections, interviews, and observation rec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ixed research design.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reas, and the affective areas were limited in quantity, but the deepening of place-specific attachment was confirmed in the qualitative data.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class, stu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learning commitment were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otional guidance project class is a vali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ultivates a sense of plac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e absence of a comparative group based on the case of a single class, and a comparison of multiple classes and multiple regions and a long-term follow-up study are required for generalization. Nevertheless,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of emotional guidance by showing the process by which emotions experienced by students in school spaces lead to geographic perception and practi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감정지리학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의 이론적 기반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 예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수업 모색
- AI가 생성하는 공간과 지리교육의 새로운 접점
-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보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 사회과 수업에서 드러난 입법교육 실천의 다원성: ‘입법 없는 입법교육’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 초등학생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