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를 활용한 역사 학습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모색
이용수 3
- 영문명
- Identifying Issues and Seeking Improvements in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병택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283~3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이용한 학습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언급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이다. 이글에서는 특히 역사수업에서 생성형 AI를 이용한 수업 장면을 상정하고, 역사수업에서 Chat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할 때 흔히 발생하는 거짓정보와 답변을 가려내려는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은 다양한 해석과 서사를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며, 객관적이고 확정된 진리로 간주하기 어렵다. 그런데 AI가 제공하는 답변은 과거의 이론을 그대로 요약‧제공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AI를 활용한 역사 수업은 역사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결과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한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컴퓨팅 사고력이며, 이는 문제를 분해하고(Decomposition), 패턴을 인식하며, 해결 절차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능력이다.
영문 초록
Recent advancements in AI technology are significantly impacting classroom settings, and the use of generative AI tools such as ChatGP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responses provided by AI can be inaccurate or overly simplistic, and if students accept them uncritically, it may negatively affect their learning outcomes.
Historical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and narratives, and it cannot be regarded as an entirely objective or definitive truth. Yet, AI often summarizes and presents historical theories as fixed and unquestionable facts. If this issue remains unaddressed, the use of AI in history classes could diverge from the fundamental goals of history education.
Since AI operates based on data, users must be able to critically analyze its outputs and recognize their limitations. To do so, computational thinking is essential—this includes the ability to break down problems (decomposition), recognize patterns, and logically structure sol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AI를 활용한 역사탐구에 미치는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
Ⅲ. 컴퓨팅 사고 과정을 응용한 역사탐구의 AI 리터러시 제고 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푯값 지도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청소년의 성인권 교육 형태에 따른 성인권 의식 차이
- 대통령 탄핵 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시민성과 도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향
-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 탐색: 서울교원 통계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 초등교사 직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을 통해 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문자와 대수 막대의 연결 과정 분석
-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역사 학습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모색
- 도행지(陶行知)와 호적(胡适)의 생활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청소년기 학업무기력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종단적 관계 탐색
- 청소년 초기 집행기능 곤란, 인지적 공감, 또래 애착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