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Using Models and Analogie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지윤 강희원 최원호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보고서의 결론에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창의적으로 비유나 모형을 고안하여 설명하는 활동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모형 활용 수준은 수업 초기에는 낮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향상되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모형 활용이 과학 개념의 이해, 설명 능력 향상, 창의적 사고 자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학생들은 창의적인 모형 고안, 개념 이해의 어려움, 타인에게 설명하는 부담, 적절한 자료 탐색의 어려움 등을 수업 중 어려움으로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학생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모형 활용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다양한 교수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어려움을 줄이고 수업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using models and analogie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d in hands-on experiments, selected topics independently, and wrote reports following scientific writing strategies. In particular, students were asked to creatively construct and utilize models or analogies to justify their scientific claims in the conclusion section of the reports.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use of models improved over time, and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model use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principles, explanation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However, students also reported difficulties in creating original models, understanding complex scientific content, explaining their ideas to others, and finding appropriate reference materi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using models and analogies provide meaningful, student-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and foster essential process skills emphasized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study recommends providing sustained and structured instructional support, along with diverse pedagogical strategies, to mitigate students' difficulties and enhanc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using models and ana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활동지 구성과 수업 진행 방법
3. 검사 도구 및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탐구 활동 보고서에 나타난 모형의 활용 수준
2.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과학글쓰기 수업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푯값 지도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청소년의 성인권 교육 형태에 따른 성인권 의식 차이
- 대통령 탄핵 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시민성과 도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향
-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 탐색: 서울교원 통계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 초등교사 직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을 통해 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문자와 대수 막대의 연결 과정 분석
-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역사 학습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모색
- 도행지(陶行知)와 호적(胡适)의 생활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청소년기 학업무기력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종단적 관계 탐색
- 청소년 초기 집행기능 곤란, 인지적 공감, 또래 애착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