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이용수  3

영문명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조형숙 이용직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301~3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o explo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 literacy of English pre-service teachers (PS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interest in AI, recognition of necessity, knowledge, and attitudes of AI, difficulty in learning AI, prior AI learning experience, and the type of AI learning. As a result of an online survey with 75 PSTs, the participants were interested in AI and felt the necessity of AI in English education. In particular, English PSTs with prior AI learning experience strongly desired to further develop their knowledge and skills. They felt the necessity for AI education in English education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without prior AI learning experienc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AI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English PSTs with prior AI learning experience were more familiar with how to use AI among the knowledge of AI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However, there was no influence by the type of AI learning. In addition, when asked about difficulties in AI learning, PSTs responded that they lacked coding knowledge, math knowledge, and opportunities for AI education. English PSTs without AI learning experience felt relatively greater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computer knowledge. In other words, their prior AI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d the AI literacy of English PSTs, but the type of AI learning experience did not. This study suggested that AI-related courses should be develop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r AI literacy of English PST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중부지역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를 탐구하기 위해, AI 교육에 대한 흥미, 필요성 인식, AI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AI 교육 경험 여부와 그들이 받은 AI 교육을 조사하였다. 75명의 영어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은 AI에 평균 이상의 관심이 있고 영어교육에서 AI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이전에 AI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열망이 강했고 AI 교육의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보다 영어 교육에서 AI 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AI 교육의 경험이 있는 영어과 예비교사가 AI에 대한 지식 중 AI 활용법에 더 친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또한, AI 학습에서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 참여자는 코딩 지식, 수학 지식이 부족하고 AI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AI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는 컴퓨터 지식의 부족으로 AI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AI 교육의 종류에 따라 AI 학습에서 어려움의 차이는 없었다. 즉, AI 교육의 경험 여부는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쳤으나, AI 교육의 종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는 영어과 예비교사의 A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AI 관련 교육 계발 방안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형숙,이용직. (2025).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교육발전, 45 (1), 301-323

MLA

조형숙,이용직.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교육발전, 45.1(2025): 301-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