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Investigating the Relevance of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Elements and Curriculum on the Eastern Coast of Ucheon-ri, Yeongnam-myeon, Goheung-gun, Korea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박기락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129~1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의 특징이 초·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질 단원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 지역이 야외 지질 학습 장소로서 적합성을 지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1, 통합과학2, 지구과학 과목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과목의 교과서와 성취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지역에는 암석에 해당하는 역암, 지질 구조에 해당하는 절리, 단층, 그루브, 하도구조, 지형에 해당하는 해식동굴, 해식애와 파식대지 등 다양한 지형 및 지질 요소가 분포하고 있다. 둘째, 연구 지역의 지형과 지질 요소는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질 단원 내용과 관련성이 있으며, 야외 지질 학습 장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야외 지질 학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교사 연수를 확대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는 점, AR·VR 기술을 활용한 보조적인 학습 콘텐츠 개발을 고려하고 다른 지역과의 연계성 분석도 지속해서 검토해야 하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features of the topography and geological elements of the eastern shore of Ucheon-ri, Yeongnam-myeon, Goheung-gun are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geology unit of the K-12 science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is area as an outdoor geology learning site. The analysis subjects were selected as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middle school science,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1, integrated science 2, and earth science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earth science I and earth science II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rea contains various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conglomerate, joints, faults, grooves, and channel, as well as sea caves, wave-cut cliffs, and wave-cut platforms. Second, the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features of the study area are relevant to the geological units covered in the elementary and high school science curricula and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outdoor geological learning sites. The study recommended expanding teacher training to enhance educational outcom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learning content utilizing AR/VR technology, and continuing to analyze connectivity with other regions to effectively operate outdoor geological learning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 지역 개요
3. 분석 대상
4. 분석틀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지형 및 지질 요소의 특징
2. 지질 단원 내용과의 관련성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락. (2025).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교육발전, 45 (1), 129-150

MLA

박기락.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교육발전, 45.1(2025): 12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