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훈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동기가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광역시에 위치한 8개 중학교의 재학생 207명(남학생: 101명, 여학생: 106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인과관계와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체적 자기개념은 학습동기의 모든 하위요인(감정몰입/행동몰입/인지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의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 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체육수업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개념을 심어줌과 동시에 내재적인 학습동기를 강화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concept on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on this relationship. Participants included 207 students (101 males, 106 females) from eight middle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oderating effect.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physical self-concep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all sub-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immer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emo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immers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approach that fosters a positive physical self-concept and strengthens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o enhance students' immers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푯값 지도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청소년의 성인권 교육 형태에 따른 성인권 의식 차이
- 대통령 탄핵 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시민성과 도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향
-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 탐색: 서울교원 통계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 초등교사 직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을 통해 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문자와 대수 막대의 연결 과정 분석
-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역사 학습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모색
- 도행지(陶行知)와 호적(胡适)의 생활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청소년기 학업무기력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종단적 관계 탐색
- 청소년 초기 집행기능 곤란, 인지적 공감, 또래 애착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