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the Matter Domai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주영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265~28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과학교육에서 물질 영역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주제 및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를 활용하여 1991년부터 2024년까지 출판된 연구 문헌 143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학술 데이터는 텍스톰을 활용하여 정제작업을 수행하고,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시각화하였다. CONCOR 분석을 활용하여 유사성을 가진 키워드로 구성된 군집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991년부터 2024년까지 초등과학교육에서 물질 영역 연구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키워드 출현 빈도 및 가중치 분석 결과 주요 키워드로는 ‘예비초등교사’, ‘초등과학교과서’, ‘물질영역’, ‘6학년’, ‘2015개정교육과정’, ‘초등교사’, ‘기체’, ‘초등학생’, ‘초등’, ‘실험개선’ 등이 나타났다. 셋째, 중심성 지수 분석에서 ‘기체’, ‘초등과학교과서’, ‘실험개선’ 등이 높은 중심성 지수를 보였다. 넷째, CONCOR 분석을 통해 ‘교사 교육 및 개념 이해’, ‘학생의 개념 발달과 탐구 과정’, ‘교과서 및 실험개선’, ‘교육과정 변화와 학년별 개념 학습’ 중심의 군집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과학교육에서 물질 영역 관련 연구의 주제 및 동향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research topics and trends related to the matter domai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 present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 total of 143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24 were collected through the RISS. Using the text mining software Textom, the collected data were refined and analyzed through TF, TF-IDF, an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and visualize key terms. In addition, a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clusters of keywords with semantic similarity. The analysis showed that research on the matter domai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Frequently occurring and weighted keywords includ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atter domain', 'sixth grade', '2015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teacher', 'gas', 'elementary student', 'elementary', and 'experiment improvement'. The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 'gas',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d 'experiment improvement' had high centrality within the network. Through CONCOR analysis, clusters were formed around themes such as 'teacher educa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students’ concept development and inquiry process', 'textbook and experiment improvement', and 'curriculum change and grade-level concept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research topics and trends related to the matter domai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learning, and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수집 및 선정
2.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논문 발행 현황
2. TF 및 IDF 분석
3. 중심성 지수 분석
4. CONCOR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 (2025).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교육발전, 45 (1), 265-282

MLA

이주영.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교육발전, 45.1(2025): 265-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