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 탐색: 서울교원 통계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Exploring Strategies to Activate Evidence-Based Education Policy Using Data: Focusing on Seoul Teacher Statistic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욱 유미나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5권 제1호, 61~8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교원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요 기관별 이용 가능한 교원 데이터의 종류를 조사·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원 데이터는 교육청에서 직접 수집하는 1차 자료와 외부에서 수집한 2차 자료로 구분되었으며, 각 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전담조직 구성, 증거기반 의사결정 체계 강화,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데이터 이용의 편의성 및 적시성 제고, 신규 데이터 발굴 및 데이터 간 연계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 정책 수립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의 실효성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utilization methods to promote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through the use of teacher data. Specifically, it was investigated the types of teacher data available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developed strategies to leverage this data for promoting evidence-based policymaking. The research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data can be classified into primary data collected directly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econdary data collected externally, and presented methods for their analysis and utilization. To activate evidence-based education policy, the study suggested establishing a dedicated data organization, strengthening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systems, developing an integrated data management system, improving data accessibility and timeliness, and discovering new data and linking between dataset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literatur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 policies and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증거기반 교육정책과 데이터
1. 증거기반 정책의 개념 및 특징
2. 데이터의 통계적 연계
3. 교육 분야에서의 증거기반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푯값 지도 비교 분석
- 제주지역 청소년의 성인권 교육 형태에 따른 성인권 의식 차이
- 대통령 탄핵 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시민성과 도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향
-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 데이터를 활용한 증거기반 교육정책 활성화 방안 탐색: 서울교원 통계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동측 해안의 지형 및 지질 요소와 교육과정의 관련성 탐색
- 초등교사 직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모형과 비유를 활용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 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을 통해 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문자와 대수 막대의 연결 과정 분석
- 초등과학교육 물질 영역 연구의 주제 및 동향 탐색
- 생성형 AI를 활용한 역사 학습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모색
- 도행지(陶行知)와 호적(胡适)의 생활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청소년기 학업무기력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종단적 관계 탐색
- 청소년 초기 집행기능 곤란, 인지적 공감, 또래 애착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 An Exploratory Study o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AI Literac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